본문 바로가기


CITEF2019

home 중점연구활동 청주교사교육포럼 CITEF2019
2018 CITEF 교사들의 꿈이 만나고 피어나는 곳 /2019.1.9.(수) ~2019.1.11.(금) 교육실천 나눔과 소통의 플랫폼 www.CITEF.net/Cheongju International Teacher Education Forum/Korean School Refrom and International Baccalaureate /주관 : 청주교육대학교, 충청북도교육청, 열린교육학회, 미래교실네트워크, 교육공동체 벗, 교육디자인네트워크, 한국교사힐링센터(충북교사공감교실), 교컴(교실밖교사커뮤니티),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후원 : 진행예정

전체일정표

수업연구페스티벌(CITEF: 청주교사교육포럼)
  1일차 1. 15.(수) 2일차 1. 16.(목)
오전
  •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비평 공모전 워크숍 및 시상식
    (수업자와의 대화)
  •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Ⅱ
워크숍 D1-8
워크숍 E1-8
오후
  • 개회식
  • ICST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 교사전문성, 교원단체, 학교민주주의 ”
  • Keynote1
  • Keynote2
  • 수업전문성 나눔의 장
  •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Ⅰ
워크숍 A 워크숍 C1~7
Session1 Session2 Session3
워크숍 B

일정에 대한 안내

  • 1. CITEF 2019 행사는 2020.1.15.(수) - 1.16.(목) 까지 2일간의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 2. 1일차 1.15.(수) 오전에는 제5회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 비평 공모전의 수상사례 발표 워크숍이 있습니다. 수업비평 공모전은 수업비평을 통해 수업 문화의 변화 및 개선을 도모하는 대회로 매년 실시하고 있습니다.
  • 3. 1일차 1.15.(수) 오후에는 개회식이 진행되고, 교사전문성 나눔의 장을 통하여 한국 교육에 필요한 화두와 논의들을 각 교사단체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소개합니다.
  • 4. 1일차 1.15(수) 오후, 1.16(목) 오전에는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이 2일간 개최됩니다.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과 교육 실천단체가 함께 총 25개의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을 개설하며, 각 교사단체별로 현장교사 중심의 고유의 컨텐츠로 구성된 워크숍을 운영합니다.
  • 5. 2일차 1.16.(목) 오후에는 8th ICST(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hool and Teaching) 의 학술대회가 열리며, “교사전문성, 교원단체, 학교민주주의”을 주제로 한 발표와 학술세션 등이 운영됩니다.

청주교사교육포럼/참여안내

  • 접수처: 홈페이지 주소 ( www.CITEF.net ) 링크를 통하여 신청가능합니다.
  • 사전기간 외 접수 불가, 현장에서는 별도의 접수를 받지 않습니다.
  • 참가비: 없음 /사전신청자에 한하여, 명찰/주차권/식권 제공 (미신청자는 현장에서 구입하여 이용 가능함)
  •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은 프로그램별 인원제한이 있으므로, 홈페이지에서 사전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문의처: 043-299-0696, 0693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사전접수신청기간: 2019.12.01.(일) - 12.31.(화)
    • 이메일: eri@cje.ac.kr
    • 행사기간 중, 온샘홀 및 원격화상강의실 1층에는 안내데스크가 항시 위치합니다. (참가확인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사전접수 시 기숙사 사용신청이 가능합니다. 홈페이지의 관련 공지를 확인하세요.(2인1실/ 선착순 마감 예정 )

※ 한국의 학교와 수업 연구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들의 참여를 바랍니다.

제5회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 비평 공모전 시상식 및 워크숍

  • 2020.1.15.(수) 09:30 – 12:30
제5회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 비평 공모전 시상식 및 워크숍
시간 원격화상강의실 / 신도서관
9:00~9:30
  • 등록
    • 신도서관 1F 원격화상강의실
9:30~10:00
  • 개회사: 임진영(청주교대 교육연구원 원장)
  • 환영사: 윤건영(청주교대 총장)
10:00~12:00
  • 공모전 총평 및 시상식
  • 시상: 윤건영(청주교대 총장)
  • 수업교사와의 대화 및 토론
    • 국어: 조경화(청주 오송초등학교)
    • 영어: 김진영(대구 진천초등학교)
    • 수학: 박현주(경북 영주중앙초등학교)
12:00~12:30
  • 폐회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
13:30~14:00
  •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
    • 사 회: 임진영(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장)
    • 환영사: 윤건영(청주교육대학교 총장)
    • 축 사: 김병우(충청북도교육청 교육감)
14:00~14:50
  • 수업전문성 나눔의 장:
    참여단체 활동 소개와 나눔
나눔1. 나무, 숲이 되다 [ 배움의 숲 나무학교 - 이우경 ]
나눔2. 충북초등교사모임 더불어 숲을 소개합니다 [ 수업친구 더불어숲 - 한충희 ]
나눔3. 새로운 교원단체의 길을 열다 [ 실천교육교사모임 - 김성규 ]
나눔4. 교사가 최고의 콘텐츠다 [ 참쌤스쿨 - 최유라 ]
나눔5. 성장을 위한 따뜻한 공동체, 공감교실 [ 충북공감교실연구회 - 추주연 ]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Ⅰ 일정(1/15, 수, 오후)

교육문화관/ 교육연구원/신도서관

교사 전문성 신장 워크숍 일정
구분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Ⅰ
15:00 ~ 16:30 (90분) [워크숍 A] [워크숍 C1] [워크숍 C2] [워크숍 C3] [워크숍 C4] [워크숍 C5] [워크숍 C6] [워크숍 C7]
교육
연구원
110호
교육
연구원
213호
교육
연구원
306호
교육
연구원
307호
교육
연구원
306호
신도서관
(원격화상
강의실)
104호
신도서관
205호
신도서관
206호
Democracy through Student-Centered Learning
Sonn Sam/Mat school, USA 서클프로세스로 안전한 공간 만들기 배움과 질문이 살아있는 귀납적 수업 '공감교실, 배움과 성장을 위한 따뜻한 관계 만들기' 학교를 살리는 학생자치&민주시민교육 수준평정그림책의 확장 교육의 생태적 전환 - 전략과 사례 공유하기 오늘 배워 내일 써먹는 학급 운영 Tip!
16:40 ~ 18:10 (90분) [워크숍 B]
교육문화관 110호
Purpose of school: School for life? 좋은교사운동(회복적생활교육센터) 역량교육디자인연구소 전국공감교실연구회 실천교육교사모임 청주교육대학교문해력지원센터 교육공동체 벗 수업친구더불어숲
Andersen/ University College South Denmark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Ⅱ 일정(1/16, 목, 오전)

교육문화관/ 교육연구원/신도서관

학교와 수업연구 학술대회 일정
시간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Ⅱ
09:00 ~ 10:30 (90분) [워크숍 D1] [워크숍 D2] [워크숍 D3] [워크숍 D4] [워크숍 D5] [워크숍 D6] [워크숍 D7] [워크숍 D8]
교육연구원 213호 교육연구원 306호 교육연구원 307호 [워크숍 D4]
교육연구원 308호
신도서관 205호 신도서관 206호 신도서관 (원격화상강의실) 104호 교육문화관 110호
유튜브 미디어 시대 Z세대의 미래교육 공학적 도구활용 수업: 크롬북과 알지오메스를 활용한 수학수업 ‘바실리수호믈린스키 아이들은 한 명 한 명 빛나야 한다’ 매개의 비판적 독서 전문적 교사 학습 공동체(PLC) 운영을 위한 프로토콜 알고 나면 누구나 할 수 있는 협동학습 -DVDM 질문전략을 활용한 협동학습 이해하기 오늘 배워 내일 써먹는 수업 아이디어! (초등 미술) 거꾸로 교실 기반 학생 활동의 실제 공감교실의 수업 이야기
참쌤스쿨 한국중등수석교사회 교실밖교사커뮤니티(교컴)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한국협동학습연구회 수업친구 더불어숲 미래교실네트워크 (충북) 전국공감교실 연구회
10:40 ~ 12:10 (90분) [워크숍 E1] [워크숍 E2] [워크숍 E3] [워크숍 E4] [워크숍 E5] [워크숍 E6] [워크숍 E7] [워크숍 E8]
교육연구원 213호 교육연구원 306호 교육연구원 307호 교육연구원 308호 신도서관 205호 신도서관 206호 신도서관 (원격화상강의실) 104호 교육문화관 110호
생각 그 이상의 그림책 :그림책 활용 교육 <연극>교과 지도 방법과 실제 학생참여형수업과 과정중심평가 수학의 개념원리를 게임을 통해 만난다 알고 나면 누구나 할 수 있는 협동학습 -협동학습을 정착시키기 위한 7가지 요소 탐색 오늘 배워 내일 써먹는 수업 아이디어! (초등 역사) 온라인에서 함께 쓰는 수업 일기 학교민주주의와 공감교실
참쌤스쿨 한국중등수석교사회 한국중등수석교사회 한국중등수석교사회 한국협동학습연구회 수업친구 더불어숲 재미있는 과학수업 만들기 전국공감교실 연구회
  • ※ 워크숍은 사전접수신청으로 운영되며, 현장접수는 운영하지 않습니다. 자유롭게 참관하실 수 있습니다.
  • ※ 교사직무연수인증 안내 (충청북도교육청 소속 교사에게만 해당됩니다.)
  • 1. 충청북도교육청 소속의 교사는 직무연수이수 시간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다음의 절차를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 2. 사전접수 신청 시, www.citef.net 을 통하여 직무연수이수에 필요한 필수정보를 입력합니다.(소속학교, 이름, 단재연수원 ID, 생년월일)
  • 3. 워크숍 신청 후, 해당 워크숍의 참석자 명부에 모두 서명하여야 합니다. 행사종료 후, 이메일로 배포되는 설문조사에 응답하여, 참석자명부와 설문결과참여가 모두 확인되어야 합니다.
  • 4. 행사관리를 위하여 사전접수에 의하지 않은 참가자는 충북소속의 교원이더라도 직무연수이수 승인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8th ICST :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hool and Teaching (1/16, 목, 오후)

Teacher Professional Develoment, Teacher Organization, Democratic School

학교와 수업연구 학술대회 일정
교사 교육의 민주주의적 관점 강사 덴마크에서 배우는 행복교육과 학교민주주의
기조강연(Keynote) 1
Andersen / University College South Denmark
- Lector, International Coordinator
- University College South Denmark,Department of Teacher Education
- 덴마크, 그룬트비포럼 이사장
떠오르는 미국의 대안학교, 매트스쿨 강사 떠오르는 미국의 공립대안학교, 매트스쿨 기조강연(Keynote) 2
Sonn Sam / Mat School, USA
- Regional Director for Big Picture Learning
- 학생중심교육 코칭, 학교가 가지는 역할에 대한 재개념화
- 학교 교육의 잠재력을 활성화 하기 위한 학교네트워크 구성 전문가
학교와 수업연구 학술대회 일정
TIME CONTENT
13:10-13:20
  • 온샘홀 (Onsaem Hall, Practical Arts Building)
  • Host: JIN YOUNG IM(Director, CNUE Education Research Insititute)
  • 모두연설 Enrollment & Opening Address : 교사전문성, 교원단체, 학교민주주의 (이혁규/ 청주교육대학교)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 Organization, Democratic School (Hyuk kyu Lee/CNUE)
13:20-15:20 13:20-14:20
  • 기조강연 Keynote Speech 1: Development of Teaching through Action Research & Action Learning (Andersen, / University College South Denmark)
14:20-15:20
  • 기조강연 Keynote Speech 2: The Hunt for Passion (Sonn Sam / Regional Director of Big picture Lerning, USA )
15:20-15:30 휴식
15:30-18:00 Session 1
  • 온샘홀(Onsaem Hall, Practical Arts Building)
  • Host: JIN YOUNG IM(CNUE)
Session 2
  • 원격화상강의실(신도서관 104호)
  • Host: 000000 (CNUE)
Session 3 : 학교민주주의
  • 신도서관/교센206
  • Host: 미정(한국열린교육학회)
15:30-16:00
  • 역사 수업 궁리를 위한 연구와 성찰, 따로 또 같이(Research and Reflection for Deliberation of History Classes, Together and Separately)
    - 송치중 /도선고등학교(Song, Chi Jung / Seoul Dosun high school)
  • 수업시연을 통해 본 예비교원의 교육과정 이해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Use of the Curriculum by the Pre-Serviced Teachers through the Class Demonstration)
    - 유미해 /청주교육대학교( Mihae Ryu /CNUE)
  • 민주학교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과 요구: 학교민주주의 구현을 위한 시사점(School Members' Peroeptions and Needs fot Democratic Schools:Lmplications fot School Democracy)
    - 박윤경, 박새롬, 이수정, 김자영(Park. Yun Kyound, Park. Sae rom, Lee Su-jeong, kim. Ja Young)
16:00-16:30
  • 온라인 기반 교사커뮤니티인 인디스쿨의 성장과 변화(Growth and Change of Indischool, an Online Based Teacher Community)
    - 김무광 /인디스쿨( Kim, mookwang /Indischool)
  • 인공지능예술과 창의성이 던지는 도전과 교윢적 과제에 대한 연구(A.I Art and Creativity: Its challange and educational task)
    - 강병직/ 청주교육대학교(Kang, ByoungJik / CNUE )
  • 학교 민주주의 진단을 위한 지표 개발 연구(A study on developing School Democracy Indicators)
    - 김명정, 유혜영, 박윤경, 이수정(Kim.Myung Jung, Yoo. hye-yound, Park. yun Kyoung, Lee.Su-jeong)
16:30-17:00
  • 초등수학 우수 수업 사례에서 나타난 창의적 수업 실행의 특징 분석(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Mathematics Instruc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 김남균 /청주교육대학교( Kim, Nam Kyun / CNUE)
  • SW교육전문성을 위한 교원단체 활동 현황 및 제언(Current Status and Suggestions about Activities of Korean Teachers' Organization for SW Education)
    - 한정혜 /청주교육대학교 (Jeong hye Han / CNUE)
17:00-17:30
  • 좋은교사운동에서 교사연구의 현황과 제언 (The Current Status and Suggestions of Teacher Research in Good Teacher Movement.)
    - 진용성 / 조창완, 백수연 (Jin, yong-seong /Jo,Chang wan, Paek, Soo yeon, Good Teacher)
  • 대학교육에서 혁신의 의미와 평가(Implications and Evaluation of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 김향정 /청주교육대학교 (Kim, Hyangjoung)
17:30-17:40 Break
17:40-18:00 종합토론 및 폐회
온샘홀 (Onsaem Hall, Practical Arts Building)
교육연구원 +10 VISION 연구와 실천이 만나는 혁신의 공간 청주교대 교육연구원 앞으로 열어갈 10년
비전 Glocal Hub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특성화전략 학교와 수업 연구의 중심

비전 실현을 위한 새로운 중점 과제

  • 등재후보 학술지 「학교와 수업 연구」 추진
  • 교사전문성 개발 총서 간행
  • 교사 전문성과 학교문화」 전공 정착
  • 온라인교사교육지원시스템 구축
  • 교육과 연구가 함께하는 축제의 공간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