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TEF2022

home 중점연구활동 청주교사교육포럼 CITEF2022
2022 CITEF
사전접수 참가신청하기 세부프로그램 INFO 2022CITEF PDF 다운로드 Q&A

청주교사교육 CITEF2022 프로그램

청주교사교육 CITEF2022 프로그램
2023. 1. 10. (화) 2023. 1. 11. (수) 2023. 1. 12. (목) 2023. 1. 13. (금)
오전
  • 제3회 우수수업영상상영회
    (유튜브생중계 / 사전신청)
  •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 및 수업전문성 나눔의 장
    (현장운영 / 유튜브생중계)
  •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 교사단체와 함께하는 교육 전문성신장워크숍 B
    (현장 또는 Zoom 운영)
  • 국제부문 :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hool and Teaching
    (현장운영 / 유튜브생중계)
오후
  • 제8회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비평 공모전 워크숍
    (유튜브생중계 / 사전신청)
  • 교사단체와 함께하는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A
    (현장 또는 Zoom 운영)
  • 국내부문: 제32회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와 교사 전문성 신장"
    (현장운영)
  • 교사단체와 함께하는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C
    (현장 또는 Zoom 운영)

일정에 대한 안내

  • 1. 10.(화)에는 사전행사로서 국내외의 우수한 수업 사례들을 관찰하고, 수업자와 수업비평자와 함께 수업에 대한 각자의 관점을 공유하는 사례발표회가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 1. 11.(수) 오전에는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이 있으며, 이어서 교사 단체들과 현장 교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수업 혁신을 위한 노력과 성과를 나누고 교육 이슈에 대해 토론하는 수업전문성 나눔의 장이 진행됩니다.
  • 1. 11.(수) 오후와 1. 13.(금)에는 교사·학술단체들을 A-C그룹으로 나누어 각 단체별로 교사전문성 신장워크숍을 개설하여 대면 또는 비대면으로 운영합니다.
  • 1. 12.(목)에는'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와 교사 전문성 신장'을 주제로 국제 학술대회에서는 싱가포르와 핀란드, 영국의 교사 교육에 관한 초청 강연이 진행되며, 국내 학술대회에서는 한국의 교사 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 발표가 이루어집니다.

청주교사교육포럼 참여안내

  • 접수처 : 홈페이지 주소(www.CITEF.net)에 안내되는 링크를 통하여 신청가능합니다.
  • 참가신청 및 사전접수기간 : 2022. 12. 5. (월)부터 ~ 프로그램별 제한 인원 내 선착순 접수 마감
  • 문의처 : 043-299-0696, eri@cje.ac.kr
  • 코로나 방역 지침으로 인하여 사전에 확인되지 않은 참가자의 출입을 철저하게 통제합니다.
  • 주요행사는 유튜브 채널(청주교육대학교교육연구원)에서 생방송 송출이 이뤄지며, 줌으로 운영되거나 현장에서 진행되는 행사들은 사전접수자에게 안내사항이 모두 문자로 발송될 예정입니다
출입안내

제3회 우수수업영상상영회

  • 일정 : 2023. 1. 10. (화) 09:30 ~ 12:00
  • YouTube : 청주교육대학교교육연구원 유튜브채널(youtube/online streaming)
  • 유튜브생중계(교육연구원 101호 청남마루)
제3회 우수수업영상상영회
시간 수업 주제
09:30 - 12:00
(3편 릴레이 상연 - 각 40분)
  • 수업 A : 우리 마을의 소리 맛집을 찾아서
  • 수업 B : 별.별.연.기. 연극놀이로 마.음.을 나누다
  • 수업 C : 사탕을 나누는 공평하고 정의로운 방법(정치프로젝트)

제8회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 비평 공모전 시상식 및 워크숍

  • 일정 : 2023. 1. 10. (화) 13:00 ~ 17:30
  • YouTube : 청주교육대학교교육연구원 유튜브채널(youtube/online streaming)
제8회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 비평 공모전 시상식 및 워크숍
시간 소요(분) 행사내용
13:00 - 14:00 60
  • 등록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1호 청남마루
14:00 - 14:30 30
  • 사영회 : 김미혜(교육연구원 교원전문성개발센터장)
  • 개회사 : 이승민(교육연구원 원장)
  • 환영사 및 시상 : 이혁규(청주교대 총장)
14:30 - 15:00 30
  • 사회 : 김미혜(교육연구원 교원전문성개발센터장)
  • 시상 : 이혁규(청주교대 총장)
    • 대상 : 성영미(대구 유가초)
    • 최우수상 : 박창경(부산 대저초), 윤병도(강원 통리초)
    • 최우수상 : 최민영(양지초), 정수녀(상장초), 염수경(광주광역시 부설초)
    • 우수상 : 남누리(서울 잠원초), 한학범(인천 장도초), 정승하(목포 영산초), 김진영(대구 조암초), 김요셉(세종 대동초)
15:00 - 17:00 120
  • 사회 : 김병수(청주교육대학교 학술연구교수)
  • 수업교사와의 대화 및 토론
    • 통합교과 : 허 용(서울 항동초)
    • 국어교과 : 박선영(대구 명곡초)
    • 사회, 도덕교과 : 한충희(충주 덕신초)
17:00 - 17:30 30
  • 종합토론 및 총평
17:30 -
  • 폐회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 및 나눔의 장

  • 일정 : 2023. 1. 11. (수) 9:30 ~ 12:30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1호 청남마루
  • YouTube : 유튜브채널(youtube/online streaming)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 및 나눔의 장
09:30 - 12:30
  • CITEF2022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
    청주교육대학교 청남마루 (교육연구원 101호)
    • 개회사 : 이승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장)
    • 환영사 : 이혁규 (청주교육대학교 총장)
    • 축사 : 윤건영 (충청북도교육청 교육감)
    • 사회자 : 손민희 (충청북도교육연구정보원 연구사)
  • 수업전문성 나눔의 장 : 참여단체 활동소개와 나눔

나눔강연1

학교교육과정과 교사 전문성

김태선 인천광역시 서부교육지원청 장학사
인천초등교육과정연구소

"인천초등교육과정연구소는'학교에서 교사들은 어떻게 전문가가 되어가는가?'라는 질문을 품고 학교교육과정이란 무엇인지, 학교교육 과정을 어떻게 만들어가는 것인지 현장교사들의 공동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합니다. 이 과정이 학교교육과정을 하는 교사들에게 동력과 거름이 되길 바랍니다."

나눔강연2

즐거운 배움과 실천으로 나와 우리가 세상을 바꾼다

이인숙 (사)미래학교자치연구소 소장
미래학교자치연구소

"미래학교자치연구소는 2019년 작은 학습공동체(담쟁이)에서 출발하여 2020년 경기도미래학교자치교육연구회, 2021년 5월 경기도교육청 승인 사단법인이 되었다. 학생이 배움을 주도할 수 있도록, 교육공동체의 연구, 성장, 실행을 통하여 새로운 교육체제로서의 미래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며, 교육의 모든 주체가 책임있게 행동하는 학교의 자치역량을 키워 나가고 있다. 2700명의 연구소 회원들이 분과별로 정기적으로 관심 분야를 학습하고 전문성을 쌓으며 공동체로서 실천하고 있다."

나눔강연3

학교를 생태전환교육의 플랫폼으로

정성조 안산 별망초등학교 교장
환경과 생태를 지키는 전국 교사 모임

"환경과생명을지키는전국교사모임(환생교)은 1995년 창립하여, 환경문제와 환경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국 각 지역 유치원·초·중등교사들의 자발적인 네트워크이다. 21세기 생태(기후)위기를 극복을 위해 2022년 주요 활동은 화요공부방(매주 강연과 토론), 2022 개정교육과정 총론'생태전환교육'반영 요구, 학교 생태전환교육 사례 탐방 및 나눔, 생태연수(새만금 걷기, 내성천 제비조사, 제주도 습지연수), 자료발간(녹색교육) 등을 하고 있다. 이 활동의 토대로 학교를 생태전환교육의 플랫폼으로 기능하고자 한다."

나눔강연4

행복한 교육실천모임을 소개합니다.

이지연 서울대학교사범대학 부설초등학교 교사
행복한교육실천모임

"(사)행복한교육실천모임은 2003년 교육의 본질 실현을 꿈꾸는 교사들이 결성한 서울초중등대안교육연구회에서 시작하였습니다. 교육 본질 구현에 관심이 있는 교사 외 학부모 및 강사, 시민단체까지 회원영역을 확대하여 2010년 12월에 서울시교육청의 인가를 받아 공식 비영리사단법인으로 창립, 2016년 기획재정부 지정기부금 단체로 승격된 사단법인입니다. 현재 180여명의 회원들과 현재 뿐 아니라 미래의 행복한 교육과 문화를 실천하기 위해 에너지를 집중하고 있습니다."

나눔강연5

교실에서 별을 만나다

최경희 탑동초등학교 교사
좋은교사운동 위기학생연구회

"요즈음 교실 안전을 위협하는 학생들(심각한 수업방해, 교실이탈, 공격행동 등)과 협조되지 않는 가정환경, 미비한 학교시스템으로 인해 교사들의 생활지도는 위기에 처했다. 이에'학교 현장에서 위기학생을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좋은교사운동 교사들이 모였다. 그동안'이상심리과 학습과 행동, 정서행동장애교육, 긍정적 행동지원'을 스터디하면서 심리적 장애와 행동문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위기학생의 다양한 사례를 공유하며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현재 26명의 행동지원 실천가 1년 과정을 운영하며 긍정적 행동지원(PBS) 기반 개별중재 프로그램을 대안 모델로 삼아 학급 실행연구 및 적용을 실천하고 있다."

11th IC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hool and Teaching)

  • 일정 : 2023. 1. 12. (목) 9:30 ~ 12:30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1호 청남마루
  • YouTube : 유튜브채널(youtube/online streaming)
11th ICST
Time Conference on School and Teaching CONTENT
09:30 - 09:50

11th ICST(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hool and Teaching)

Opening & Welcome Speech - Operator: Mihye Kim(CNUE)

  • Seungmin Lee (Director of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Hyuk-kyu Lee (President,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Woojung Baek (President of Chungcheongbuk-do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
09:50 - 10:40 - Chair: Hyuk-il Kwon(CNUE)
Keynote
Speech 1
(기조강연1)

Initial Teacher Education, Induction and Continuing Professional Learning: Innovative Ideas for Sustainable Teacher Development
(초기 교사 교육, 신규 연수 및 계속적인 전문적 학습: 지속 가능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혁신적 아이디어)

- Ho Jin Chung (Professor,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ingapore)

10:40 - 11:30 Keynote
Speech 2
(기조강연2)

Collaborativ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Finnish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Programme
(핀란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협동적 설계와 실행)

- Jari Lavonen (Professor, Helsinki University, Finland)

11:30 - 12:20 Keynote
Speech 3
(기조강연3)

Coercive Autonomy? - A Paradigm Shift i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England
(강제적인 자율성? - 영국 교사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 Sarah Seleznyov (Co-Headtecher, School 360, UK)

12:20 - 12:30 토론 및 질의(Q&A)

Ho Jin Chung(Professor,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ingapore)

정호진 교수는 세계적인 교사양성대학으로 인정받고 있는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며, 싱가포르 한국국제학교에서 운영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정교수는 교육학, 사회학, 역사학 및 철학적 관점을 기반으로 한 학제간 연구, 신문기사 기고 및 칼럼을 통해 싱가포르의 우수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교육 정책 및 교육 시스템을 한국 사회에 알리는데 기여했으며, 교육부, 서울시 교육청, 인천시 교육청, 서울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업무 협력을 해오면서 한국과 싱가포르 교육의 가교 역할을 해왔다. 이번 2022 청주교사교육포럼에서는 아시아의 교사교육을 선도하고 있는 싱가포르 교사교육이 교사의 계속적인 전문성 개발과 어떻게 평생교육 관점에서 연계되어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소개하고, 한국의 교사교육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지속 가능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Jari Lavonen(Professor, Helsinki University, Finland)

핀란드 헬싱키 대학교 교수, 핀란드 전국교사교육포럼 이사, 핀란드 입학시험위원회 의장, 핀란드 과학과 문학 아카데미 회원이며,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 대학과 에스토니아의 타르투 대학 초빙 교수를 역임했다. 지난 34년 동안 주로 과학과 기술 교과의 교사 교육을 연구해 왔으며, 과학 교육과 과학 교사 교육과 관련하여 총 600여 건의 저작물을 출판하였다. 2016 핀란드 교사교육포럼에서 발표한'핀란드 교사 교육을 위한 국가 목표 프로그램'에는 핀란드 교육정책 전문가와 대학 교수, 교장, 교사, 학생 등을 대표하는 70여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고, 교사교육과 전문성 개발을 위해 45개의 세부 프로젝트를 발주하여 재정 지원을 받았다. 2017~2020년에 수행한 파일럿 프로젝트와 2020~2022년에 수행한 프로젝트 결과들을 반영하여 핀란드의 국가교육 목표를 개정하고 있다. 이번 2022 청주교사교육 포럼에서는 핀란드 국가 차원의 교사교육 정책 방향과 목표, 구체적인 실행 전략 등을 소개한다.

Sarah Seleznyov(Phd candidate,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 Co-Headtecher, School 360, UK)

영국 런던 학습 리더십 센터와 UCL 교육 연구소에서 교육 컨설턴트와 런던 남부 학교 연합의 이사로 활동하면서 교육 행정과 학교, 교사 교육 개혁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현재 네델란드 암스테르담의 Vrije 대학교와 LEARN! 연구소에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영국 런던에 있는 School 360의 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또한, Let's Think Forum의 재단 이사장으로서 초등 및 유아 교사를 위한 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책임지고 있다. 이번 2022 청주교사교육 포럼에서는 영국의 교사 교육 정책의 변화와 그에 따른 구체적인 학교 개혁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 등을 소개한다.

제32회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session 1

  • 일정 : 2023. 1. 12. (목) 14:00 ~ 16:30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1호 청남마루 (현장운영)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시간 제32회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 session 1 ]
- 사회 : 이호준(청주교육대학교)
14:00 - 14:30
(발표1)

초등 사회과 블렌디드 PBL 수업 모형 개발을 위한 협력적 실행 연구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blended PBL model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 박윤경, 박선운(청주교대), 김지훈(대전산내초), 김지윤(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 유소현(대전호수초)

14:30 - 15:00
(발표2)

초등 영어 협력 활동에서 학습자 수준과 상호작용 양상
Learner level and interaction patterns in elementary English cooperation activities

- 김진영(대구조암초등학교), 이승민(청주교육대학교)

15:00 - 15:30
(발표3)

초등과학교재연구 수업의 현장성 증진을 위한 ePBL 실행 연구
Action Research of e-PBL to Improve the Fieldness of the Class o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Research

- 권혁순(청주교육대학교)

15:30 - 16:00
(발표4)

미국 초등교육과정에서의 기후변화교육 분석 - 일리노이주를 사례로
Analysi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in the Illinois Elementar y Curriculum

- 최종남 (Western Illinois University)

16:00 - 16:30
(발표5)

플랜보드를 활용한 학생 주도성을 키우는 프로젝트 수업의 실제
Project class to develop student agency using "Plan Board"

- 이선영 충청북도교육청 장학사

16:30 - 16:50
(종합토론)
Discussion & Closing (Q&A)

session 2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2호 교사전문성lab (현장운영)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시간 제32회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 session 2 ]
- 사회 : 김은향(청주교육대학교)
14:00 - 14:30
(발표1)

오늘의 생태전환교육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든다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should result in the Sustainable Future.

- 이지연(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14:30 - 15:00
(발표2)

좋은교사운동 연구실천 프로젝트 시즌2"우리의 교육과정 만들기"에 참여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Good Teacher Movement Research Practice Project Season 2 "Creating Our Curriculum"

- 진용성(평내초등학교)

15:00 - 15:30
(발표3)

배움을 위한 학습공동체, 함께하는 실천학습
"Learning community for learning, practical learning together"

- 이보라(미래학교자치연구소/ 군포의왕교육지원청 장학사)

15:30 -16:00
(발표4)

두뇌 심리 코칭 방법 및 사례
Brain Psychology Coaching Methods and Examples

- 신재한(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교수)

16:00 - 16:20
(종합토론)
Discussion & Closing (Q&A)

CITEF2022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 group A

  • 2023. 1. 11. (수) 14:00 ~ 17:00
  • ※ 모든 워크숍은 CITEF.net에서 우선신청마감 합니다.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 group A
일시 프로그램 (워크숍 A) 운영형태
온라인
참석인원
장소
워크숍 A1
2023. 1. 11. (수)
14:00 - 17:00

교육을 업그레이드 하는 법 : 학습컨설팅
[한국교육심리학회]

  • 강연자 : 신종호학회장/서울대학교 교수) 윤채영(신라대학교 교수) 김규은(조선대학교) 권지웅(미림여자정보과학고등학교)

"한국교육심리학회장, 학습컨설팅 전문가(교수), 1급 학습컨설턴트(연구원), 학교현장 교사가 초등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서의 다양한 학습컨설팅 사례, 온라인으로 진행한 통섭수업 성공사례를 공유하고, 교육현장에서의 학습컨설턴트 역할과 비전에 대해 나눕니다."

비대면
zoom
100
한국교육
심리학회
(온라인)
워크숍 A2
2023. 1. 11. (수)
14:00 - 17:00

다양한 재료 탐색을 통한 미술 수업
[충북유초등수석교사회]

  • 강연자 : 윤종근(수성초등학교 수석교사)

"'선생님, 어떻게 그려요?','선생님, 틀렸어요. 다시 그려도 되요?' 습관적으로 이렇게 묻는 학생들은 보는 것에 대해 사실적으로 표현하려는 욕구는 강하지만 미적 표현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아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입니다. 이에 사실적인 표현 능력을 기르기 위한 활동보다는 아이디어를 주제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작품을 시각화할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생활하는 주변에는 미술 활동과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런 재료를 활용하여 표현 활동의 즐거움을 만끽하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미술 활동으로 드러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미술 수업, 어떠신지요?"

대면
현장
30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2호
교사전문성lab
워크숍 A3
2023. 1. 11. (수)
14:00 - 17:00

교사전문성을 키우는 5가지 키워드!
[재미있는 과학수업 만들기]

  • 강연자 : 김신혜(부산 용문중) 정현주(경기 한강중) 이지은(서울대학교) 박종선(경기 청산중)

"'재미있는 과학수업 만들기' 온라인 과학교사 커뮤니티(1만 4천명 교사회원)에서 교사 전문성을 키우는 5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실천사례를 소개합니다. 1.재과만, 교사전문성을 키우는 온라인 플랫폼!, 2.기록, 초보교사의 좌충우돌 수업일지 작성기, 3.공유, 나의 수업을 넘어 공동의 수업 만들기, 4.공감, 나와 우리의 수업이 진화하는 현장!, 5.공동성장, 우리가 2022개정교육과정을 바꾸다!"

대면
현장
60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1호
청남마루
워크숍 A4
2023. 1. 11. (수)
14:00 - 17:00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상담 및 심리치료 방법
[행복한교사상담연구소]

  • 강연자 : 강민숙(남원왕치초등학교 교사) 임운나(대구교육대학교 외래교수)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미래사회의 변화로 인해 상담 및 심리치료 방향도 변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뇌과학, 인지과학, 신경과학 등이 발달함에 따라 교육신경과학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미래지향적인 상담 및 심리치료 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체험 실습합니다. (교육공동체 모두가 행복한 학급경영 방법 및 사례, 교사와 학생의 마음돌봄을 위한 행복명상 방법 및 사례 등)"

대면
현장
30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301호
강의실
워크숍 A5
2023. 1. 11. (수)
14:00 - 17:00

현장에서 활용하는 퍼실리테이션
[(사)행복한 교육 실천 모임]

  • 강연자 : 정유진(안양 신성중학교 교사)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쉽게 만든다) 방법을 이용하여 학급자치 및 학급살이 등을 경험해 보는 시간. 스쿨퍼실리테이션!! 주체적 참여와 민주적 의사결정을 경험하고 삶 속에 적용해 보는 연습을 하기에 학교라는 유의미한 공간은 가장 보람있는 공간입니다. 학생들이 스스로 만들고 꾸려가는 학급규칙 만드는 과정은 학급자치의 시작입니다."

대면
현장
30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307호
강의실
워크숍 A6
2023. 1. 11. (수)
14:00 - 17:00

교원의 전문성과 학습공동체
[교실밖교사커뮤니티]

  • 강연자 : 함영기(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사무국장 함영기)

"질문이 있는 교실과 민주적 수업문화, 기초학력의 재개념화와 정책 전환 탐색, 미래교육 미래학교 상상,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생태계 모색, 학교 리더와 학습조직. 등의 주제를 다루고자 합니다."

대면
현장
30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303호
수업비평워크숍실
워크숍 A7
2023. 1. 11. (수)
14:00 - 17:00

유형별로 이해하고 전략별로 코칭하는 교실 속 별별 학습코칭
[함께교육 학습코칭연구회]

  • 강연자 : 백선아(함께교육 공동대표)

"선생님, 저도 잘하고 싶어요'코로나로 인해 학생 간 학력격차가 심해지고 혼자 공부를 해나가는 것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진짜 공부를 할 수 있는 힘'을 주는 교사 코칭이 시작됩니다. 동기부여, 기억, 시간관리, 읽기, 기록 등 한국협동학습연구회가 20년 넘게 연구해 온 함께하는 마음과 공부 철학이 만나 대한민국 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불을 지피고 있습니다.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들을 모아 실천할 수 있는 힘을 선생님들과 함께 나눕니다."

대면
현장
30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303호
수업비평워크숍실

CITEF2022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 group B

  • 2023. 1. 13. (금) 09:30 ~ 12:30
  • ※ 모든 워크숍은 CITEF.net에서 우선신청마감 합니다.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 group B
일시 프로그램 (워크숍 B) 운영형태
온라인
참석인원
장소
워크숍 B1
2023. 1. 13. (금)
09:30 - 12:30

문해력 교육 톱아보기
[읽기 따라잡기 연구회]

  • 강연자 : 진영준(동인초등학교 교사) 박지희(수성초등학교 교사)

'발달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우리의 문해력 교육, 문해력 개념에 비추어보는 우리의 문해력 교육, 아이의 삶과 문해력 교육, 우리의 문해력 교육 재설정'

대면
현장
30
청주교육대학교
연구원 303
수업비평워크숍실
워크숍 B2
2023. 1. 13. (금)
09:30 - 12:30

공동체성을 바탕으로 실천을 이어가는 교사학습공동체 만들기
[배움의 숲 나무학교]

  • 강연자 : 백순우(합덕제철고등학교 교사) 외 배움의 숲 나무학교 교사 다수

"학습공동체 관련 도서를 통해 새로운 해석과 다양한 경험을 포용적이고 개방적인 관점으로 이해한다. 토론 과정에서 구성원들과 서로 같음과 다름을 확인하며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공유의식과 비전을 형성하고자하며, 학습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공유 의식이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고 개별 교원이 근무하는 학교와 소속된 학습공동체의 비전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한다."

대면
현장
20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2호
교사전문성lab
워크숍 B3
2023. 1. 13. (금)
09:30 - 12:30

뇌기반 몸-마음 행복키우기
[해피브레인스쿨]

  • 강연자 : 박선이(진주 천전초등학교 수석교사) 장정화(사천 동성초등학교 수석교사) 이윤진(한국주얼리고등학교 교사)

"인공지능 시대에 적합한 행복한 학교문화는 무엇일까요? 인지과학, 신경과학 등을 융합하여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미래 지향적인 학교 문화를 형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미래 지향적인 학교 문화를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및 사례를 발표합니다."

대면
현장
30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3호
강의실
워크숍 B4
2023. 1. 13. (금)
09:30 - 12:30

미래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수업방법
[브레인융합교육연구회]

  • 강연자 : 이은정(상주여자중학교) 임운나(대구교육대학교 외래교수) 신재한(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미래 사회의 변화로 인해 교육의 방향도 변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뇌과학, 인지과학, 신경과학 등이 발달함에 따라 교육학, 심리학, 뇌과학 등이 융합한 교육신경과학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역량, 인성 역량 등 핵심 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체험실습합니다 "

대면
현장
30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307호
강의실
워크숍 B5
2023. 1. 13. (금)
09:30 - 12:30

청주교대 미래교육센터 운영 사례 : e-PBL 기반 미래교육 모델의 개발 및 적용
[미래교육지원센터]

  • 강연자 : 권혁일, 한정혜, 이재용, 방신웅(청주교육대학교 교수), 함성진(원봉초등학교 교사), 김수현(청원고등학교 교사), 인동교(회인초등학교)

"e-PBL 기반 미래교육 모델의 이해, e-PBL 기반 미래교육 모델의 적용 I: e-PBL 적용 청주교대 강의 개선, e-PBL 기반 미래교육 모델의 적용 Ⅱ: e-PBL 적용 e-교육상담 "

비대면
현장
청주교육대학교
미래교육센터
원격교육실
(온라인)
워크숍 B6
2023. 1. 13. (금)
09:30 - 12:30

배움과 질문이 살아있는 귀납적 방법으로 수업 디자인
[역량교육연구소]

  • 강연자 : 권순현 (역량교육연구소 소장)

"귀납적 수업은 학생 스스로 생각을 해서 개념(원리, 이론, 문제)을 찾아가게 하는 수업모형입니다. 그 개념(원리, 이론, 문제)을 찾아갈 수 있도록 교사는 학습지(활동지)를 잘 구성하여 안내자, 촉진자 역할을 하면 됩니다. 즉, 처음 발견한 학자의 경험을 그대로 하게 합니다. 이때 학생들은 발견의 기쁨과 때로는 배움에 대한 희열을 느끼기도 하면서 강력한 배움이 일어납니다. 귀납적 방법으로 융합수업을 풀어가면 최고입니다."

비대면
zoom
역량교육
연구소
워크숍 B7
2023. 1. 13. (금)
09:30 - 12:30

미래핵심역량과 PBL
[(사)미래학교자치연구소]

  • 강연자 : 구자천(은가람중학교 교사), 신수진(미사고등학교 교사)

"미래학교자치연구소의 학생주도프로젝트 학습분과의 활동 사례 공유를 통해 학습공동체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학습 결과물 등을 산출해낼 수 있는 것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 포노 사피엔스의 학습법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방법인 PBL을 적용한 수업사례(과학, 국어, 창의적 체험활동 등) 안내를 통해 교실 수업속에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대면
현장
24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1호
청남마루

CITEF2022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 group C

  • 2023. 1. 13. (금) 14:00 ~ 17:00
  • ※ 모든 워크숍은 CITEF.net에서 우선신청마감 합니다.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 group C
일시 프로그램 (워크숍 C) 운영형태
온라인
참석인원
장소
워크숍 C1
2023. 1. 13. (금)
14:00 - 17:00

수업으로 만나는 내 마음 : 수업나눔 워크숍_[모듈4]
[좋은교사 수업코칭연구소]

  • 강연자 : 이세희(광주송우초등학교 교사) 박지연(광주송정중앙초등학교 교사) 박선영(광주태봉초등학교 교사) 진용성(경기평내초등학교 교사)

'수업을 생각하면 꽉 막힌 듯 힘드세요? 수업나눔 워크북에 담겨진"실패의 메아리, 교사로서 우선순위, 내 마음 속 특별한 학생에게, 고민에 머무르기" 등의 온라인 워크숍 활동을 진행할거에요. 워크숍을 통해서 각자의 현장에서 고군분투하셨던 동료분들을 수업친구로 만나시게 되실 것이고, 우리의 수업과 교사로서의 삶을 돌아보면서 수업을 향한 마음이 회복되는 시간이 되실 거에요!"

비대면
Zoom
30
좋은교사운동
(온라인)
워크숍 C2
2023. 1. 13. (금)
14:00 - 17:00

그림책을 활용한 수업
[경기도수업비평교육연구회]

  • 강연자 : 김은정(문시중학교 수석교사), 조명희(샛별중학교 교사)

'좋은 수업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친한 친구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수업비평교육연구회에서 모아온 재미있고 유용한 수업 아이디어를 나눕니다. 오늘 배워 내일 써먹을 수 있는 알아두면 쓸모 많은 수업 활동들을 가득 나눠드리겠습니다.'

비대면
Zoom
30
경기도수업비평
교육연구회
(온라인)
워크숍 C3
2023. 1. 13. (금)
14:00 - 17:00

기후 위기 시대의 교육
[교육공동체 벗]

  • 강연자 : 윤상혁(서울특별시교육청 장학사) 정용주(서울 탑산초등학교 교사)

"교육공동체 벗은 《오늘의 교육》 창간 이래'교육 불가능의 시대'의 대안으로서'교육의 생태적 전환'을 지속적으로 주창해왔다.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 의식이 높아지는 지금, 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1강 - 교육의 생태적 전환, 그 지형 탐색
2강 - 생태 전환 교육으로 가는 실천 사례

비대면
Zoom
30
교육공동체벗
(온라인)
워크숍 C4
2023. 1. 13. (금)
14:00 - 17:00

공동체회복을 위한 공감교실의 따뜻한 대화법
[충북공감교실네트워크]

  • 강연자 : 추주연(충북단재교육연수원 교육연구사) 성영미(청주혜원학교 교사)

"학기초 교실, 낯설고 멀게만 느껴지던 관계가 점차 서로의 공감과 인정으로 이어진 따뜻한 관계로! 서로 경쟁하며 각자 배우던 관계를 넘어 서로이의 배움과 성장을 북돋는 협력의 관계로! 공감교실은'관계의모두를 다 살린다'는 철학과 원리, 방법으로 가꾸는'다살림 공동체'입니다. 충북공감교실네트워크(전국공감교실네트워크)에서 학급을 공감교실로 가꾸기 위해 연구하고 실천한 이야기를 공유하고 함께 체험하는 시간으로 준비했습니다."

대면
-
20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2호
교사전문성lab
워크숍 C5
2023. 1. 13. (금)
14:00 - 17:00

인공지능시대 체인지 메이커 교육과 웰니스 교육 방법 및 사례
[브레인미래교육연구회]

  • 강연자 : 박은주(세일중학교 교사) 김현숙(화원고등학교 교사)

"미래사회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VR, AR 등이 융합한 에듀테크가 발달하고 뇌과학, 인지과학, 신경과학이 발달함에 따라 진로, 인성, 학습 등 미래교육에 필요한 혁신적이고 대안적인 교육 철학, 교육 방법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브레인래교육연구회는 미래교육에 필요한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교육평가 등의 구체적인 방법 및 사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비대면
zoom
30
브레인
미래교육연구회
(온라인)
워크숍 C6
2023. 1. 13. (금)
14:00 - 17:00

학생주도프로젝트학습 수업사례 공유 워크숍
[한국중등수석교사회]

  • 강연자 : 황인형(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수석교사) 이혜숙(익산부송중학교 수석교사)

"수업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1. 프로젝트 수업이 답이다!
2. 교육과정 문해력을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수업"

비대면
zoom
-
중등수석교사회
(온라인)
워크숍 C7
2023. 1. 13. (금)
14:00 - 17:00

모두를 위한 AI: 인공지능 활용 맞춤형 영어 수업
[KAIST KIRC]

  • 강연자 : 추성엽 (KAIST KIRC 박사과정)

"개별 맞춤형 지도 및 평가를 강화하고, 디지털 기초 소양 함양을 목표로 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발 맞추어, 학생의 영어 의사 소통을 촉진시키는 AI 챗봇 개발방법과 실제 수업 사례를 공유합니다. 또한, 다양한 수준의 학생발화에 대해 AI 챗봇으로 하여금 적절한 교정적 피드백 및 스캐폴딩을 제공할 수 있는 기제를 활용하여 교과서 과업 기반의 AI 챗봇 개발 및 활용방안을 소개합니다."

비대면
zoom
카이스트
지식혁신연구센터
(온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