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 10. (화) | 2023. 1. 11. (수) | 2023. 1. 12. (목) | 2023. 1. 13. (금) | |
---|---|---|---|---|
오전 |
|
|
|
|
|
||||
오후 |
|
|
|
|
시간 | 수업 주제 |
---|---|
09:30 - 12:00 (3편 릴레이 상연 - 각 40분) |
|
시간 | 소요(분) | 행사내용 |
---|---|---|
13:00 - 14:00 | 60 |
|
14:00 - 14:30 | 30 |
|
14:30 - 15:00 | 30 |
|
15:00 - 17:00 | 120 |
|
17:00 - 17:30 | 30 |
|
17:30 - |
|
09:30 - 12:30 |
|
---|---|
![]() 나눔강연1학교교육과정과 교사 전문성 김태선 인천광역시 서부교육지원청 장학사 "인천초등교육과정연구소는'학교에서 교사들은 어떻게 전문가가 되어가는가?'라는 질문을 품고 학교교육과정이란 무엇인지, 학교교육 과정을 어떻게 만들어가는 것인지 현장교사들의 공동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합니다. 이 과정이 학교교육과정을 하는 교사들에게 동력과 거름이 되길 바랍니다." ![]() 나눔강연2즐거운 배움과 실천으로 나와 우리가 세상을 바꾼다 이인숙 (사)미래학교자치연구소 소장 "미래학교자치연구소는 2019년 작은 학습공동체(담쟁이)에서 출발하여 2020년 경기도미래학교자치교육연구회, 2021년 5월 경기도교육청 승인 사단법인이 되었다. 학생이 배움을 주도할 수 있도록, 교육공동체의 연구, 성장, 실행을 통하여 새로운 교육체제로서의 미래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며, 교육의 모든 주체가 책임있게 행동하는 학교의 자치역량을 키워 나가고 있다. 2700명의 연구소 회원들이 분과별로 정기적으로 관심 분야를 학습하고 전문성을 쌓으며 공동체로서 실천하고 있다." ![]() 나눔강연3학교를 생태전환교육의 플랫폼으로 정성조 안산 별망초등학교 교장 "환경과생명을지키는전국교사모임(환생교)은 1995년 창립하여, 환경문제와 환경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국 각 지역 유치원·초·중등교사들의 자발적인 네트워크이다. 21세기 생태(기후)위기를 극복을 위해 2022년 주요 활동은 화요공부방(매주 강연과 토론), 2022 개정교육과정 총론'생태전환교육'반영 요구, 학교 생태전환교육 사례 탐방 및 나눔, 생태연수(새만금 걷기, 내성천 제비조사, 제주도 습지연수), 자료발간(녹색교육) 등을 하고 있다. 이 활동의 토대로 학교를 생태전환교육의 플랫폼으로 기능하고자 한다." ![]() 나눔강연4행복한 교육실천모임을 소개합니다. 이지연 서울대학교사범대학 부설초등학교 교사 "(사)행복한교육실천모임은 2003년 교육의 본질 실현을 꿈꾸는 교사들이 결성한 서울초중등대안교육연구회에서 시작하였습니다. 교육 본질 구현에 관심이 있는 교사 외 학부모 및 강사, 시민단체까지 회원영역을 확대하여 2010년 12월에 서울시교육청의 인가를 받아 공식 비영리사단법인으로 창립, 2016년 기획재정부 지정기부금 단체로 승격된 사단법인입니다. 현재 180여명의 회원들과 현재 뿐 아니라 미래의 행복한 교육과 문화를 실천하기 위해 에너지를 집중하고 있습니다." ![]() 나눔강연5교실에서 별을 만나다 최경희 탑동초등학교 교사 "요즈음 교실 안전을 위협하는 학생들(심각한 수업방해, 교실이탈, 공격행동 등)과 협조되지 않는 가정환경, 미비한 학교시스템으로 인해 교사들의 생활지도는 위기에 처했다. 이에'학교 현장에서 위기학생을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좋은교사운동 교사들이 모였다. 그동안'이상심리과 학습과 행동, 정서행동장애교육, 긍정적 행동지원'을 스터디하면서 심리적 장애와 행동문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위기학생의 다양한 사례를 공유하며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현재 26명의 행동지원 실천가 1년 과정을 운영하며 긍정적 행동지원(PBS) 기반 개별중재 프로그램을 대안 모델로 삼아 학급 실행연구 및 적용을 실천하고 있다." |
Time | Conference on School and Teaching CONTENT | |
---|---|---|
09:30 - 09:50 |
11th ICST(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hool and Teaching)Opening & Welcome Speech - Operator: Mihye Kim(CNUE)
|
|
09:50 - 10:40 | - Chair: Hyuk-il Kwon(CNUE) | |
Keynote Speech 1 (기조강연1) |
Initial Teacher Education, Induction and Continuing Professional Learning: Innovative Ideas for Sustainable Teacher Development
|
|
10:40 - 11:30 | Keynote Speech 2 (기조강연2) |
Collaborativ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Finnish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Programme
|
11:30 - 12:20 | Keynote Speech 3 (기조강연3) |
Coercive Autonomy? - A Paradigm Shift i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England
|
12:20 - 12:30 | 토론 및 질의(Q&A) |
Ho Jin Chung(Professor,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ingapore)
정호진 교수는 세계적인 교사양성대학으로 인정받고 있는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며, 싱가포르 한국국제학교에서 운영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정교수는 교육학, 사회학, 역사학 및 철학적 관점을 기반으로 한 학제간 연구, 신문기사 기고 및 칼럼을 통해 싱가포르의 우수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교육 정책 및 교육 시스템을 한국 사회에 알리는데 기여했으며, 교육부, 서울시 교육청, 인천시 교육청, 서울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업무 협력을 해오면서 한국과 싱가포르 교육의 가교 역할을 해왔다. 이번 2022 청주교사교육포럼에서는 아시아의 교사교육을 선도하고 있는 싱가포르 교사교육이 교사의 계속적인 전문성 개발과 어떻게 평생교육 관점에서 연계되어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소개하고, 한국의 교사교육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지속 가능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Jari Lavonen(Professor, Helsinki University, Finland)
핀란드 헬싱키 대학교 교수, 핀란드 전국교사교육포럼 이사, 핀란드 입학시험위원회 의장, 핀란드 과학과 문학 아카데미 회원이며,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 대학과 에스토니아의 타르투 대학 초빙 교수를 역임했다. 지난 34년 동안 주로 과학과 기술 교과의 교사 교육을 연구해 왔으며, 과학 교육과 과학 교사 교육과 관련하여 총 600여 건의 저작물을 출판하였다. 2016 핀란드 교사교육포럼에서 발표한'핀란드 교사 교육을 위한 국가 목표 프로그램'에는 핀란드 교육정책 전문가와 대학 교수, 교장, 교사, 학생 등을 대표하는 70여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고, 교사교육과 전문성 개발을 위해 45개의 세부 프로젝트를 발주하여 재정 지원을 받았다. 2017~2020년에 수행한 파일럿 프로젝트와 2020~2022년에 수행한 프로젝트 결과들을 반영하여 핀란드의 국가교육 목표를 개정하고 있다. 이번 2022 청주교사교육 포럼에서는 핀란드 국가 차원의 교사교육 정책 방향과 목표, 구체적인 실행 전략 등을 소개한다.
Sarah Seleznyov(Phd candidate,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 Co-Headtecher, School 360, UK)
영국 런던 학습 리더십 센터와 UCL 교육 연구소에서 교육 컨설턴트와 런던 남부 학교 연합의 이사로 활동하면서 교육 행정과 학교, 교사 교육 개혁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현재 네델란드 암스테르담의 Vrije 대학교와 LEARN! 연구소에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영국 런던에 있는 School 360의 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또한, Let's Think Forum의 재단 이사장으로서 초등 및 유아 교사를 위한 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책임지고 있다. 이번 2022 청주교사교육 포럼에서는 영국의 교사 교육 정책의 변화와 그에 따른 구체적인 학교 개혁과 교사 교육 프로그램 등을 소개한다.
시간 | 제32회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 session 1 ] - 사회 : 이호준(청주교육대학교) |
---|---|
14:00 - 14:30 (발표1) |
초등 사회과 블렌디드 PBL 수업 모형 개발을 위한 협력적 실행 연구
|
14:30 - 15:00 (발표2) |
초등 영어 협력 활동에서 학습자 수준과 상호작용 양상
|
15:00 - 15:30 (발표3) |
초등과학교재연구 수업의 현장성 증진을 위한 ePBL 실행 연구
|
15:30 - 16:00 (발표4) |
미국 초등교육과정에서의 기후변화교육 분석 - 일리노이주를 사례로
|
16:00 - 16:30 (발표5) |
플랜보드를 활용한 학생 주도성을 키우는 프로젝트 수업의 실제
|
16:30 - 16:50 (종합토론) |
Discussion & Closing (Q&A) |
시간 | 제32회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 session 2 ] - 사회 : 김은향(청주교육대학교) |
---|---|
14:00 - 14:30 (발표1) |
오늘의 생태전환교육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든다
|
14:30 - 15:00 (발표2) |
좋은교사운동 연구실천 프로젝트 시즌2"우리의 교육과정 만들기"에 참여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15:00 - 15:30 (발표3) |
배움을 위한 학습공동체, 함께하는 실천학습
|
15:30 -16:00 (발표4) |
두뇌 심리 코칭 방법 및 사례
|
16:00 - 16:20 (종합토론) |
Discussion & Closing (Q&A) |
일시 | 프로그램 (워크숍 A) |
운영형태 온라인 참석인원 |
장소 |
---|---|---|---|
워크숍 A1 2023. 1. 11. (수) 14:00 - 17:00 |
교육을 업그레이드 하는 법 : 학습컨설팅
|
비대면 zoom 100 |
한국교육 심리학회 (온라인) |
워크숍 A2 2023. 1. 11. (수) 14:00 - 17:00 |
다양한 재료 탐색을 통한 미술 수업
|
대면 현장 30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2호 교사전문성lab |
워크숍 A3 2023. 1. 11. (수) 14:00 - 17:00 |
교사전문성을 키우는 5가지 키워드!
|
대면 현장 60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1호 청남마루 |
워크숍 A4 2023. 1. 11. (수) 14:00 - 17:00 |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상담 및 심리치료 방법
|
대면 현장 30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301호 강의실 |
워크숍 A5 2023. 1. 11. (수) 14:00 - 17:00 |
현장에서 활용하는 퍼실리테이션
|
대면 현장 30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307호 강의실 |
워크숍 A6 2023. 1. 11. (수) 14:00 - 17:00 |
교원의 전문성과 학습공동체
|
대면 현장 30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303호 수업비평워크숍실 |
워크숍 A7 2023. 1. 11. (수) 14:00 - 17:00 |
유형별로 이해하고 전략별로 코칭하는 교실 속 별별 학습코칭
|
대면 현장 30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303호 수업비평워크숍실 |
일시 | 프로그램 (워크숍 B) |
운영형태 온라인 참석인원 |
장소 |
---|---|---|---|
워크숍 B1 2023. 1. 13. (금) 09:30 - 12:30 |
문해력 교육 톱아보기
|
대면 현장 30 |
청주교육대학교 연구원 303 수업비평워크숍실 |
워크숍 B2 2023. 1. 13. (금) 09:30 - 12:30 |
공동체성을 바탕으로 실천을 이어가는 교사학습공동체 만들기
|
대면 현장 20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2호 교사전문성lab |
워크숍 B3 2023. 1. 13. (금) 09:30 - 12:30 |
뇌기반 몸-마음 행복키우기
|
대면 현장 30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3호 강의실 |
워크숍 B4 2023. 1. 13. (금) 09:30 - 12:30 |
미래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수업방법
|
대면 현장 30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307호 강의실 |
워크숍 B5 2023. 1. 13. (금) 09:30 - 12:30 |
청주교대 미래교육센터 운영 사례 : e-PBL 기반 미래교육 모델의 개발 및 적용
|
비대면 현장 ∞ |
청주교육대학교 미래교육센터 원격교육실 (온라인) |
워크숍 B6 2023. 1. 13. (금) 09:30 - 12:30 |
배움과 질문이 살아있는 귀납적 방법으로 수업 디자인
|
비대면 zoom ∞ |
역량교육 연구소 |
워크숍 B7 2023. 1. 13. (금) 09:30 - 12:30 |
미래핵심역량과 PBL
|
대면 현장 24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1호 청남마루 |
일시 | 프로그램 (워크숍 C) |
운영형태 온라인 참석인원 |
장소 |
---|---|---|---|
워크숍 C1 2023. 1. 13. (금) 14:00 - 17:00 |
수업으로 만나는 내 마음 : 수업나눔 워크숍_[모듈4]
|
비대면 Zoom 30 |
좋은교사운동 (온라인) |
워크숍 C2 2023. 1. 13. (금) 14:00 - 17:00 |
그림책을 활용한 수업
|
비대면 Zoom 30 |
경기도수업비평 교육연구회 (온라인) |
워크숍 C3 2023. 1. 13. (금) 14:00 - 17:00 |
기후 위기 시대의 교육
|
비대면 Zoom 30 |
교육공동체벗 (온라인) |
워크숍 C4 2023. 1. 13. (금) 14:00 - 17:00 |
공동체회복을 위한 공감교실의 따뜻한 대화법
|
대면 - 20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02호 교사전문성lab |
워크숍 C5 2023. 1. 13. (금) 14:00 - 17:00 |
인공지능시대 체인지 메이커 교육과 웰니스 교육 방법 및 사례
|
비대면 zoom 30 |
브레인 미래교육연구회 (온라인) |
워크숍 C6 2023. 1. 13. (금) 14:00 - 17:00 |
학생주도프로젝트학습 수업사례 공유 워크숍
|
비대면 zoom - |
중등수석교사회 (온라인) |
워크숍 C7 2023. 1. 13. (금) 14:00 - 17:00 |
모두를 위한 AI: 인공지능 활용 맞춤형 영어 수업
|
비대면 zoom ∞ |
카이스트 지식혁신연구센터 (온라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