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TEF2020

home 중점연구활동 청주교사교육포럼 CITEF2020
  • 코로나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하여 모든 워크숍과 학술강연을 온라인으로 전환하여 운영합니다.
  • 청주교사교육포럼은 2021.1.4. ~ 2021.1.22. 의 일정에 걸쳐 진행되며, 약 30여건의 워크숍과 강연이 온라인으로 릴레이운영됩니다.
  •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사전접수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 CITEF 교사들의 꿈이 만나고 피어나는 곳/한국수업의 역사와 인물History of Korean Classes and Leading Figures /2021.1.4.(월) ~2021.1.22.(금) /장소:청주교육대학교 및 온라인(Zoom,Youtube) /문의: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Tel.043)299-0696 / 접수:www.citef.net /교육실천 나눔과 소통의 플랫폼 /주최 : 청주교육대학교, 충청북도교육청, 경기도수업비평교육연구회, 경기도토론교육연구회, 교컴(교실밖교사커뮤니티), 교육공동체 벗, 충북공감교실연구회, 충북 배움의 공동체 연구회, 수업친구 더불어숲, 충북실천교육교사모임, 역량교육디자인연구소, 인디스쿨, 좋은교사운동, 재미있는과학수업만들기, 참쌤스쿨, 한국유초등수석교사회, 한국협동학습연구회 / 주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충청북도교육연구정보원 충북교육정책 연구소 /후원 :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 협조 예정

전체일정표

수업연구페스티벌(CITEF: 청주교사교육포럼)
  청주교사교육포럼 CITEF 2020 (1/4~1/22)
2021.1.13.(수) 2021.1.14.(목) 2021.1.15.(금)
09:30 우수수업사례영상 상영회
(사전신청/온라인생중계)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 및 수업전문성 나눔의 장
(온샘홀 - 온라인 생중계)
-각 교사단체의 수업전문성 나눔에 대한 이야기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국제부문: 9th IC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hool and Teaching 미국, 덴마크, 일본, 한국 초청강연 (온라인/녹화중계)
14:00 제6회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 비평 공모전 워크숍
(사전신청/Zoom 온라인진행)
15개 교사단체와 함께하는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 릴레이개설 : 1/4~1/22 ) -홈페이지(citef.net)에 참가방법 및 프로그램 소개 참고 국내부문: 제30회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한국 수업의 역사와 인물 초청 강연
(온라인/녹화중계)
18:00 모든 행사는 온라인으로 운영됨.
  • 비대면 및 제한적 대면 행사 또는 온라인행사 운영을 위하여, 방역지침/사회적거리두기 준수
  • 강연들은 모두 사전신청으로 진행되며, 일부 행사는 선착순으로 마감함./ 현장접수 불가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유튜브채널 (youtube/online streaming) 구독

일정에 대한 안내

  • 1. CITEF2020 행사는 감염병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2021.1.4.(월) ~ 22(금) 까지 약 3주간 분산하여 릴레이 운영됩니다.
  • 2. 1.4.(월)부터 1.22(금)의 기간에는 청주교사교육포럼에 참여하고 있는 여러 단체들의 좋은 컨텐츠를 통하여 수업전문성을 나누는 장으로, 총 16개의 참여단체별 워크숍을 비대면으로 개설하여 운영함, 사전접수(www.CITEF.net) 의 선착순 신청으로 마감함.
  • 3. 1.13(수)에는 제6회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 비평 공모전 워크숍을 운영하며, 수업자와 비평자가 함께 수업에 대한 각자의 관점을 공유하는 상영회 및 사례발표회가 온라인으로 진행됨.
  • 4. 1.14(목)에는 청주교사교육포럼의 개회식이 진행되며, 이어서 수업혁신을 위하여 경주해온 자생적인 교사단체들과 현장교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경험과 전망, 교육이슈에 대한 토론을 이루는 수업전문성 나눔의 장이 온라인으로 진행됨.
  • 5. 1.15(금)에는“한국 수업의 역사와 인물”을 주제로 국제부문에서는 미국, 덴마크, 일본, 한국의 교사와 수업에 대한 강연이 진행되며, 국내부분에서는 한국 교사의 주제발표 4건이 이어질 예정.

청주교사교육포럼/참여안내

  • 접수처: 홈페이지 주소 ( www.CITEF.net ) 링크를 통하여 신청가능합니다.
  • 문의처 : 043-299-0696, eri@cje.ac.kr
  • 코로나 방역 지침으로 인하여 사전에 확인되지 않은 참가자의 출입을 철저하게 통제합니다.
  • 유튜브 채널(청주교육대학교교육연구원)에서 생방송 송출이 이뤄지며, 일부는 신청자에게만 링크로 제공됩니다

제6회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 비평 공모전

  • 일정 : 2021. 1. 13.(수) 10:00 ~ 16:00
  • Zoom, YouTube온라인 진행
제6회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 비평 공모전 시상식 및 워크숍
시간 내 용
10:00~12:00 CITEF2020 - 우수수업영상 상영회
  • 수업 A (통합) : 학습 대화를 통한 의사소통역량 기르기
  • 수업 B (국어) :‘몸말-입말-글말’로 채우는 즐거운 국어시간
  • 수업 C (수학) : 5가지 관행을 적용하여 즐거운 수학 토의 수업하기
13:30~16:00 제6회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 비평 공모전
  • 총평 : 조용훈(청주교육대학교 교수)
  • 초청토론자 : 송현주 (인천은송초등학교 교사), 임미현 (왕방초등학교 교사), 김수진 (서울대곡초등학교 교사)
수업교사 및 수업비평자 대화의 장
  • 총평 : 조용훈(청주교육대학교 교수)
  • 초청토론자 : 송현주 (인천은송초등학교 교사), 임미현 (왕방초등학교 교사), 김수진 (서울대곡초등학교 교사)
16:00 총평 및 폐회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 및 나눔의 장

  • 일정 : 2021. 1. 14.(목) 9:30 ~ 12:30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 및 나눔의 장
9:30 ~ 10:00
  • 사영회 : 김남균 (청주교육대학교 교수)
  • 개회사 : 이선경(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장)
  • 환영사 : 이혁규(청주교육대학교 총장)
  • 축 사 : 김병우(충청북도교육청 교육감)
10:00 ~ 12:00

나눔강연1

‘2030 교사가 바라본 실천교육교사모임'

박 수 경 의림초등학교 교사
실천교육교사모임

“실천교육교사모임은 교사들이 교육 실천을 함께 공유하고 성장하는 네트워크이자 교육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지키는 실천의 구심점입니다. 실천하는 교사로 충청북도 실천교사모임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젊은 2030교사가 바라본 실천교육 교사모임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나눔강연4

‘수업 아이디어, 함께 나눠요’

김 영 학 경기도 운암고등학교 교사
재미있는 과학수업 만들기

“재미있는 과학수업 만들기”(sedu21.com)는 전국의 초/중/고 과학교사들의 온라인커뮤니티로, 20년간 교사들이 실천한‘수업 아이디어, 함께 나눠요’사례들을 소개합니다.”

나눔강연2

‘제 빛깔로 빛나는 나무들이 숲을 이루는 방법’

한 미 성 청주 증안초등학교 교사
수업친구 더불어숲

“교육과정재구성에 관심 있는 충북교사들로 2017년에 시작된 모임입니다. ‘각자의 관심사를 배우자.’를 기본으로 더 오래 더불어 나아가기 위하여, 2020년에는‘시민교육’을 주제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눔강연5

‘‘미래사회 평생학습 시대에서의 교수자와 학습자의 바람직한 역할과 책임’

송 미 나광주 대반초등학교 수석교사
한국유초등수석교사회

“미래의 평생학습 시대에서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역량은 배움에 대한 역할과 책임감 있는 태도를 갖도록 하는데 있으나, 다양한 수업 모델에 있어서 학생과 교사의 균형 잡힌 태도를 기대하기 어렵다. 수업이 중심이 되는 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을 조명해본다.”

나눔강연3

‘덕양중학교, 수업에 물들다’

이 규 철덕양중학교 교장
좋은교사운동

“2020년 코로나19 상황에서 덕양중학교가 수업공동체를 세워간 과정과 그 항해를 나누고자 합니다. 온라인 수업 나눔의 시간으로 함께 수업을 설계하고 성찰한 항해의 일기와 겪었던 어려움을 나누고‘걸어가기! 다시 세우기!’위한 계획과 실천을 함께 나눌 예정입니다

나눔강연6

‘백워드로 성장중심평가를 실천하다’

이 영 선병점중학교 수석교사
경기도수업비평교육연구회

“학습자의 배움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상상해보는 것부터 시작할 때 학생의 성장을 이끄는 수업과 평가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백워드 설계가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습니다.”

9th ICST(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hool and Teaching)

  • 일정 : 2021. 1. 15.(금) 9:30 ~ 12:30

Sydney Chaffee (시드니 채피)Codman Academy Charter Public School, USA

매서추세츠주 도체스터에 있는 코드만 아카데미 차터 스쿨의 인문학 교사. 국가위원회 인증 교사. 2017년 올해의 교사로 선정되었으며, 전 세계의 청중에게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교사와 학생들의 무한한 힘에 대해 이야기했다. 실제 세계와 연관된 간학문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다양한 학습자를 돕기 위한 열정을 가지고 있다. 사라 로렌스 대학을 졸업하고, 레슬리 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를 받았다.

Anders Schultz (안데르스 슐츠)Teacher of Social Studies, Rysensteen Gymnasium, Denmark

뤼센스텐 김나지움 사회과 교사. 2013년부터 뤼센스텐 김나지움 에서 세계시민 양성 프로그램 전담 교육 책임을 맡고 있다. 민주적인 공동체를 세우는 민주주의 수업과 학생들의 역량에 관심을 가지고 수업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아우레호이 김나지움 졸업, 오르후드 대학교 스포츠학과를 졸업하고 코펜하겐 대학교 역사학과에서 이스라엘-펠레스타인 분쟁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Futoshi HATTORI (후토시 하토리)Associate of professor,Department of child Education Osaka Aoyama University, Japan

아이치 현 히로시마 대학 부속 초등학교와 공립 초등학교에서 20 년간 교사로 재직하였다. 어린이들이 사회 교과의 수업 내용과 방법을 이해하는 방식과 관점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Hyuk kyu, Lee (이혁규)President of CNUE, Korea

청주교육대학교 총장. 사회과 교육 전공. 교실 수업 연구로 서울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0년 동안 중ㆍ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1997년부터 청주교대에서 예비 교사들을 가르치고 있다. 교육 현상에 대한 다양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동료들과 함께 수업 비평 이라는 새로운 연구 장르를 개척하였다. 한국열린교육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는 수업 개선, 학교 혁신, 나아가서 한국의 교육 생태계 전체를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관심이 있다.
9th ICST
Time Conference on School and Teaching
CONTENT
09:30 ~ 청주교육대학교교육연구원 유튜브채널(youtube/online streaming) - chair : 윤옥경(Yoon Ok-kyeong / CNUE)

9th ICST(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hool and Teaching)

  • 개회사 Openning Address : Sun kyung, Lee(Director, CNUE Education Research Insititute)(이선경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장)
  • 환영사 Welcome Address : Hyuk kyu, Lee(President of CNUE) (이혁규/ 청주교육대학교 총장)
10:00~11:00 Keynote Speech 1 (기조강연1) ‘Every Student Deserves to Feel Like a Hero’ (모든 학생은 영웅처럼 느낄 자격이 있다)
Sydney Chaffee (Codman Academy Charter Public School
/2017 National Teacher of the Year, USA)
11:00~12:00 Keynote Speech 2 (기조강연2) ‘DanishEducation - Forming democratic,happy and capable Citizens’ (덴마크 교육 - 민주적이고 행복하며 유능한 시민 형성하기)
Anders Schultz (Teacher of Social Studies, Rysensteen Gymnasium, DENMARK)
12:00~13:00 Keynote Speech 3 (기조강연3) ‘A consideration of how social studies classes have been created for a society that is dificult to understand’(이해하기 어려운 사회 현상을 다루고 있는 사회과 수업 방법에 관한 고찰)
Futoshi HATTORI
(Associate of professor,Department of child Education Osaka Aoyama University, Japan)
14:00~15:00 Keynote Speech 4 (기조강연4) ‘History of Lesson Researches in Korea’ (한국 수업 연구의 역사)
Hyuk kyu, Lee(President of CNUE) 이혁규 총장(청주교육대학교)

제30회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 일정 : 2021. 1. 15.(금) 14:00 ~ 17:00

윤종배(영일중학교 수석교사)Jongbae, Yoon (Myungil middle School/Master Teacher)

  • 관심분야 : 역사교사의 수업 전문성(P.C.K), 수업 성찰
  • 역사교육연구소, 전국역사교사모임,
    서울중등수업비평연구회 소속
  • 역사 수업 관련 글쓰기, 〈나의 역사 수업〉,
    〈역사 수업의 길을 묻다〉 출판
  • 역사교육연구소장, 전국역사교사모임 회장 역임

권영부(동북고등학교 수석교사)Kwon Young Bu (Dongbuk High School/Master Teacher)r)

  • 교육청/교육연수원/각급학교ㆍ학생주도수업과 과정중심평가 강사
  • 한국언론진흥재단/한국신문협회/각급학교ㆍ미디어 리터러시 강사
  • 한국은행/금융감독원/KDI/각급학교 경제교육 강사

정용주(탑산초등학교 교사)Jeong YongJu(Topsan Elementary School/Teacher)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겸임교수
  •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기획단 파견교사, 교육부 파견 연구사,ㆍ서울시교육청 연구교사 역임
  • 프로젝트 기반 수업 관련 수업실천(교육부장관상 2회 수상)
  • 서울/경기/충남교육청 초등1급 정교사자격연수강사

진용성(평내초등학교 교사)Jin yong seong(Pyoungnae Elemantary School/Teacher)

  • 관심분야 : 시읽기 교육, 기초문식성교육, 리딩리커버리와 RTI, 교사 전문성 개발, 수업비평과 수업코칭, 북한교육 등
  • 좋은교사 수업코칭연구소 연구팀장
  • 출판 〈인문고전과 썸타기〉,〈김유정의 문학산맥〉
  • 편역 〈4c핵심역량에 기초한 미래형 교실수업〉, 〈글쓰기 동기전략〉 등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국내부문)
Time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국내부문)
15:30~16:00 청주교육대학교교육연구원 유튜브채널(youtube/online streaming) - Chair : Kim Mi-hye(김미혜 / 청주교육대학교)

제30회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주제발표 1 ‘나의 수업 생애사’(my class history)

윤종배(영일중학교 수석교사)Jongbae, Yoon(Myungil middle School/Master Teacher)
16:00~16:30 주제발표 2 ‘팀티칭을 위한 학습공동체 운영’(Operation of Learning Community for team teaching)

권영부(동북고등학교 수석교사) Kwon Young Bu(Dongbuk High School/Master Teacher)
16:30~17:00 주제발표 3 동료성 구축을 통한 프로젝트 수업의 확장과 변주’(Expansion and variation of project based teaching through Build a teaching collegiality)

정용주(탑산초등학교 교사) Jeong YongJu(Topsan Elementary School/Teacher)
17:00~17:30 주제발표 4 ‘좋은교사운동에서의 수업연구의 역사에 관한 연구: 좋은교사 간행물 내용분석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History of Class Studies in the Good Teacher Movement Focused on Content Analysis of Good Teachers' Magazines)

진용성(평내초등학교 교사) Jin yong seong(Pyoungnae Elemantary School/Teacher)
17:30 Discussion & Closing (Q&A 온라인 및 설문조사 안내)

CITEF2020(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2021.1.4.~1.22 ※모든 워크숍은 CITEF.net 에서 우선신청마감 됩니다

CITEF2020(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일시 제목 운영 형태 온라인 참석 인원 장소
W1
2021.1.4.(월)
14:00~16:30

그림책 수업: 마음에 질문 심기 [참쌤스쿨]

강연자 : 최유라 교사(청원초등학교)

“그림책을 활용한 상담과 교실 수업을 다룹니다. 아이들만 보는 것이라 생각했던 그림책의 다양한 활용법에 대하여 사례 중심, 실습 중심으로 안내하는 워크숍 입니다.”

비대면 행사 zoom 30 참쌤스쿨
W2
2021.1.5.(화)
10:00~12:30

진로 펀슈머(fun+consumer) 모여라: 개취존중 진로교육 [수업친구 더불어숲]

강연자 : 차보영, 박승연 교사 (충청북도진로교육원파견)

“학교에서 진로교육을 재미있게 할 수 있는 방법(땡기지 프로그램 안내), 창업가 정신을 함양하기 위한 지도방법을 비대면 워크숍 형태로 공유하며 진로교육이 시민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한 마인드셋 시간을 가져봅니다.”

비대면 행사 zoom 30 충북진로교육원
W3
2021.1.5.(화)
09:30~12:00

IB PYP가 초등학교의 수업 개선에 시사하는 점 [한국유초등수석교사회

강연자 : 조호제 수석교사 (서울 잠실초등학교)

“IB PYP(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imary Years Programme) 수업의 특징을 분석하고, 평가방식의 개선과 학생의 참여 소통 방안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교사의 수업 및 평가전문성 향상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비대면 행사 zoom 한국유초등수석교사회
W4
2021.1.21.(목)
14:00~16:30

수업보기 및 수업나눔-공감에서 실천으로 이어지는‘아동학대예방수업’[경기도수업비평교육연구회]

강연자 : 장문경 수석교사 (경기도 은계중학교)

“백워드 설계와 디자인싱킹 수업에 대한 소개하기, 그림책을 통한 아동학대 예방 수업 관찰하기, 수업 나눔을 통해 내 수업 성찰하기”

비대면 행사 zoom 30 경기도수업비평교육연구회
W5
2021.1.5.(화)
14:00-16:30

대세는 금융이지 ; 금융교육에 대한 고찰과 수업 연구 [수업친구 더불어숲]

강연자 : 정구열 교사 (수봉초등학교), 정일신 교사 (충주예성초등학교)

“금융교육의 이론과 필요성, 그리고, 초등학교에서 금융교육의 수업 사례를 소개하는 워크숍입니다.”

비대면 zoom 30 수업친구 더불어숲
W6
2021.1.6.(수)
14:00~17:00

발견의 재미가 있는 귀납적 질문으로 온라인수업 디자인하기 [역량교육디자인연구소]

강연자 : 권순현 소장 (역량교육디자인연구소)

“귀납적 수업은 학생이 스스로 개념을 찾아갈 수 있도록, 교사가 활동지를 구성하고, 촉진자의 역할을 하면 하면됩니다. 질문이 살아있는 귀납적 수업개념, 수업 사례, 교육과정 재구성, 실습으로 진행됩니다.”

비대면행사 zoom 30 역량교육디자인연구소
W9
2021.1.11.(월)
14:00~17:00

책으로 만나는 민주시민교육 [충북실천교육교사모임]

강연자 : 심진규 교사 (진천상신초등학교)

“온작품 읽기 종류의 영역을 확대하고 아이들과 민주주의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운영합니다.”

비대면행사 zoom 30 실천교육교사모임
W10
2021.1.12.(화)
14:00-16:30

생태 전환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공동체 벗]

강연자 : 이재영 교수 (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정용주 교사 (서울 탑산초등학교)

“생태 전화 교육과정 레퍼런스를 주제로한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비대면 행사 zoom 30 교육공동체 벗
W11
2021.1.13.(수)
16:00-18:30

온라인 수업 디자인 : 활동, 협동, 표현 [배움의 공동체 충북 연구회]

강연자 : 한영욱 교사 (배움의 공동체 충북연구회 대표), 김현중 수석교사 (배움의 공동체 청주연구회 회장)

“온라인 수업에서 활동, 협동, 표현이 살아있는 수업디자인을 소개하고 실습합니다.”

비대면 행사 zoom 00 배움의 공동체충북연구회
W12
2021.1.14.(목)
14:00-16:30

온라인에서 알고 나면 누구나 할 수 있는 협동학습 [한국협동학습연구회]

강연자 : 이규대 교사 (경기도 신봉고등학교

“온라인 상황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협동학습 실천 방안 및 사례를 나누고자 합니다.”

비대면 행사 zoom 30 한국협동학습연구회
W13
2021.1.14.(목)
16:00-18:30

놀이로 만들어가는 초등수업 디자인 [인디스쿨]

강연자 : 김무광 교사 (해운초등학교, 인디스쿨대표)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수학놀이를 기반으로 한 게이미피케이션 수업 활동 워크샵.”

비대면행사 zoom 30 인디스쿨
W14
2021.1.20.(수)
14:00-16:30

수업나눔 워크북을 통한 성찰

강연자 : 이세희 교사 (광주 월곡초등학교) 박선영 교사 (광주 태봉초등학교) 박 지연 교사 (광주 하남초등학교)

교사공동체 및 수업공동체의 필요성을 조명하고 수업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성장, 교사의 정체성 탐색 활동, 워크북 활용을통한 공동체 세우기 활동, 수업나눔의 프로세스 이해 및 실습을 운영함.

비대면행사 zoom 30 좋은교사
W15
2021.1.21.(목)
13:30-16:30

공감교실 경험하기 [충북공감교실연구회]

강연자 : 성영미 교사 (칠성중학교)

“아이들 마음을 움직이는 마음리더십을 기반으로 따뜻한 만남, 배움, 치유, 성장의 공감교실을 안내하고,공 감교실을경험합니다.”

비대면 행사 zoom 30 충북공감교실연구회
W16
2021.1.22.(금)
13:30-16:30

공감교실 실천사례 [충북공감교실연구회]

강연자 : 노인숙 교사 (경기도 와부중학교)

“따뜻한 만남, 배움, 치유, 성장의 공감교실을 가꾸어 가는 학급운영의 실천 사례를 나눕니다.”

비대면 행사 zoom 30 충북공감교실연구회

CITEF2020 참여단체 홍보

CITEF2020 참여단체 홍보
구분 소개 내용
참쌤스쿨 참쌤스쿨(참쌤의 콘텐츠 스쿨)은 디지털 교육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제작하고 공유하여 교실과 학교, 교육의 변화를 꿈꾸는 현직 교사로 이루어진 전국 단위 전문적 학습 공동체입니다. 월 1회 배움 모임을 하고 항상 온라인으로 이어진 공동체로 만들고 가르치며 공유합니다. 이미지와 영상 기반의 디지털 교육 콘텐츠를 만들며 아이들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습니다. 블로그 https://chamssaem.tistory.com/
실천교육교사모임 실천교육교사모임은 교육 현장에 기반한 실천교육학을 발전시키고, 각종 교육정책을 개발ㆍ제안함으로써 공교육이 올바른 사회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는 새로운 교원단체입니다. 교사들이 교육실천을 공유하고 함께 성장하는 터전이 되는 전문적 네트워크이자, 부당한 간섭과 억압에 맞서 교육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지키고 교사들의 목소리가 교육 정책에 반영되도록 힘쓰는 실천의 구심점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는 자율적 공동체로서 전국에서 1600여명에 가까운 소중한 사람들이 함께 하고 있습니다.
수업친구더불어숲 수업친구 더불어숲은 충북교사들로 이루어진 자발적 초등수업연구모임입니다. 현재는 20여명의 선생님들이 매월 1회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서로를 배우고 있습니다. 각자의 관심사가 교육과정에 어떻게 녹아나는지를 배우며, 그 과정에 외롭지 않도록 서로를 응원하고 또 함께 공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민주시민교육’이라는 큰 틀에서 공동연구도 진행하며, 온라인 카드뉴스, 기고와 교사연수 등 다양한 형태로 선생님들께 공유해드리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충북공감교실연구회 충북공감교실은 인간관계역량 개발을 중심으로 교사의 삶이 행복할 수 있도록 돌보는‘교사의 벗’이 되고자 합니다. 각 지역 공감 교실연구회와 연대하여 만남ㆍ협력ㆍ성장의‘공감교실’을 가꾸어 온 선생님들이 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학교 만들기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교사의 마음리더십(개발 : 김창오박사)을 기반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및 모델을 구안ㆍ개발하여 적용하고, 공감교실 실천 사례 공유 및 성찰과 나눔의 교사 공동체를 일구어 가고 있습니다.
충북배움의공동체연구회 배움의공동체 연구회는‘한명의 아이도 소외되지 않고 모든 아이들에게 질높은 배움을 보장한다’는 철학을 바탕에 두고 배움의 공동체의 철학적 공유를 위한 학문적 논의, 학교 및 수업개혁을 위한 기반조성, 배움의 공동체 실천 교류의 장을 마련하기위해 교원 및 교육연구자 1,000명의 회원들이 지역별, 학교 현장를 기반으로 배움의 공동체 철학에 기반한 새로운 학교만들기와 수업연구를 수행하는 단체입니다.
교실밖교사커뮤니티(교컴) 교실밖교사커뮤니티(교컴)은 1997년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로 시작한 교육 공동체입니다. 초중고교 및 특수학교 교사들의 통합 커뮤니티로 수업 전문성 신장을 목표로, 민주적 의사결정, 문화적 다양성 인정, 나눔과 실천, 지속적 성장을 위한 공부를 실천하고 있는 단체입니다. eduict.org로 찾아오시면 교컴의 방대한 자료와 다양한 성장의 기회를 함께 만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한국협동학습연구회 “협동이 살아있는 교실! 학습공동체를 통하여 성장하는 교실!”한국협동학습연구회는 좋은교사운동산하의 대표적인 전문모임으로, 현장 교사들의 실질적인 교실 수업 개선을 도와왔습니다. 2000년 창립 이래 총 100회에 달하는 전국규모 자율 및 직무연수를 진행한 전문성과 지역 및 교과모임을 통해 정기적으로 모이고 배움을 나누어 가는 진정성으로 전국의 선생님들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2018년 4월에는 (사)함께교육을 창립하여“대한민국 교사의 행복한 성장과 교육생태계의 온전한 회복”을 위해 힘찬 발걸음을 내딛기도 하였습니다. 교육이 시민들에게 희망이 될 수 있도록, 좋은 연구회를 넘어 위대한 연구회로 힘차게 달려 나가겠습니다
재미있는 과학수업 만들기 ‘재미있는 과학수업 만들기’(sedu21.com)는 전국의 초/중/고 과학교사들의 온라인 커뮤니티로 1999년 문을 연 이래 현재 8,600명의 회원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 협업의 질을 넘을 수 없다’는 교육비전과‘수업 아이디어, 함께 나눠요’라는 구체적인 실천전략으로 오늘도 전국의 교사들이 온라인에서 공동의 수업일기를 쓰며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교육공동체 벗 교육공동체 벗은 협동조합의 모델로 하는 지식공동체입니다. 교육 전문 매체인 격월간《오늘의 교육》을 펴내고, 세상의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책을 만들고 있습니다. 대안적인 삶을 함께 꿈꾸고 공부하고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크고 작음 모임도 꾸려 가고 있습니다. 교사와 시민단체 활동가, 청소년/청년, 대학(원)생, 직장인, 학부모 등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약 1,000명의 조합원들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좋은교사 유ㆍ초ㆍ중ㆍ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교사로서의 사명감과 책무성 및 전문성을 바탕으로‘좋은교사’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며, 국민에게 신뢰를 받는 교직사회가 되도록 교직문화 개선에 힘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디스쿨 초등교사 커뮤니티 인디스쿨은 전국에 계신 약 14만 명의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수업 자료 및 업무 자료, 학교생활에 관련한 이야기를 나누는 온라인 사이트이입니다. 나눔과 공유의 정신을 바탕으로 초등교사 인증을 통해 초등교사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 모임으로 초등교사에게 필요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다양한 교사모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역량교육디자인연구소 역량교육디자인연구소(http://cafe.naver.com/doksurifive)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여 핵심역량을 개발하여 지원해주며 코칭 하고자 합니다.
1. 수업에서 역량교육: 교사가 행복한 학생 중심의 참여수업
2. 수학에서 역량교육: 진짜 수학을 즐기며 고수가 되게 하는 야호수학(유레카수학+메타인지학습)
3. 자녀교육에서 역량교육: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 유대인 자녀교육
한국유초등 수석교사회 수석교사는 수업전문성이 우수한 교사가 존중받는 건강한 교직풍토 조성을 위해 2011년부터 시작된 교원자격입니다. 교사가 교수학습 전문가로서 자신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길을 따르고, 교단에서 터득한 수업전문성을 동료 교사들과 함께 나누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한국유초등수석교사회는‘창의적 지성, 따듯한 열정, 함께하는 교단’이라는 슬로건 아래‘지속가능한 학습하는 교단 문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