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읽기 따라잡기인가?
필요성
- 읽기 능력은 교육과정 핵심 역량 중의 핵심 역량
- 읽기 능력의 빈익빈 부익부, 읽기에서의 매튜 이펙트
- 학습 부진의 80%는 읽기 부진이 원인
해법
- 문제 해결의 결정적 시기는 초등 1학년
- 조기 개입을 통한 가속화된 발달
- 전문 교사의 일대일 맞춤형 지도
읽기 따라잡기의 모델,리딩 리커버리
읽기에 특별한 어려움을 지닌 교실 속의 아이들을 지원하여 일반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프로그램
- 1976년 뉴질랜드의 교육학자인 Marie M, Clay,리딩 리커버리 프로그램 시작
- 1978년 오클랜드 주 48개 학교로 전파
- 1983년 뉴질랜드의 국가 정책으로 정착
- 현재 리당 리커버리는 호주, 미국, 캐나다, 영국 등에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Marie M, Clay, 1926~2007
출발점을 동일하게
읽기 따라잡기 학교 모델
읽기 따라잡기 학교 모델의 구축과 확산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이 실현해나갈 꿈의 프로젝트입니다.
- 대안적인 공교육 프로그램입니다.
- 정규 수업 시간에 이루어집니다.
- 전문성을 갖춘 정교사가 담당합니다.
- 교사와 학생 간의 일대일 맞춤형 개별 지도입니다.
- 하루 30분, 주 5회 12주에서 15주에 걸쳐 이루어지는 단기 집중 프로그램입니다.
- 초등학교 1학년이 지나기 전에 읽기 능력을 정상적인 학습 수준으로 올려놓습니다.
읽기 교육 지원으로 공교육에 활력을
읽기 따라잡기 지역 서비스
청주교육대학교 읽지원세터는 청주 지역 학교 및 학부모의 의뢰를 받아 저학년 읽기 부진 아동의 읽기 진단 평가 및 일대일 교육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청주교육대학교 - 현장 학교 간의 협력 체제 구축
- 초등 저하견 읽기 진단 평가 지원
- 1회 30분 주2회 맞춤형 개별화 읽기 지도
미니 인터뷰
수민(1학년) 어머니, 읽기 따라잡기 지역 서비스 참여자
- 학교에 들어갈 무렵 수민의 상태는?
- “사실 클리닉에서 난독증으로 학습 장애 판정을 받았어요.
담임선생님이 특수 학급을 권하셨지만 장애아동이 아니라고 설득하였습니다.”
-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에 대해?
- “놀라운 변화에 늘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수민이와 같은 아이들을 위해 학교가 해 주었으면 하는 것?
- “교육기관에서 이런 아이들을 지도 할 수 있는 전문 선생님이 절실하게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