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TEF2021

home 중점연구활동 청주교사교육포럼 CITEF2021
가르침으로 함께한 80년, 배움과 나눔으로 열어갈 100년 / 2021 CITEF International Teacher Education Forum in Cheongju 교사들의 꿈이 만나고 피어나는 곳 / 학습공동체와 교사의 성장 Learning Communities and Teachers’ Growth / 2022. 1. 11.(화) ~ 1. 13.(목) | 장소 | 청주교육대학교 및 온라인(Zoom / Youtube) | 문의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Tel.043)299-0696 | 접수 | www.CITEF.net (사전접수 필수) / 주최 : 청주교육대학교, 한국열린교육학회, 경기도수업비평교육연구회, 교실밖교사커뮤니티(교컴), 교육공동체 벗, 배움의 공동체 충북연구회, 브레인융합교육연구회, 수업친구 더불어숲, 역량교육디자인연구소, 좋은교사, 재미있는과학수업만들기, 참쌤스쿨, 참좋은연구회, 충북교사공감교실, 충북실천교육교사모임, 한국유초등수석교사회, 한국중등수석교사회, (사)함께교육, 해피브레인스쿨, 행복교사상담연구소 /  주관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후원 :교육부  / 청주교육대학교 개교 80주년 로고

포럼개요 및 일반안내

청주교육대학교 개교 80주년 기념 학술대회 및 청주교사교육 포럼
청주교육대학교 개교 80주년 기념 학술대회 및 청주교사교육 포럼
2022.1.10.(월) 2022.1.11.(화) 2022.1.12.(수) 2022.1.13.(목)
09:30 2021 우수수업영상상영회
(온라인생중계/사전신청필수)
교사단체와 함께하는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A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교사단체와 함께하는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B
국제부문 : 10th IC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hool and Teaching 국제초청강연
(대면/비대면 병행)
14:00 제7회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비평 공모전 워크숍
(현장/온라인병행)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 및 수업전문성 나눔의 장
(대면/비대면 병행)
국내부문 : 제31회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학습공동체와 교사의 성장”
(세션별 - 대면/비대면 병행)
교사단체와 함께하는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C
18:00
  • 비대면 및 제한적 대면 행사 또는 온라인행사 운영을 위하여, 방역지침/사회적거리두기 준수
  • 강연들은 모두 사전신청으로 진행되며, 일부 행사는 선착순으로 마감함./ 현장접수 불가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유튜브채널 (youtube/online streaming) 구독 시 강연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정에 대한 안내

  • 1.10(월)에는 사전행사로서 국내외의 우수한 수업사례들을 관찰하고, 수업자와 수업비평자와 함께 수업에 대한 각자의 관점을 공유하는 사례발표회가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 1.11.(화)부터 1.13(목)의 기간 중, 청주교사교육포럼에 참여하고 있는 여러 단체들의 좋은 컨텐츠를 공유할 예정으로, 참여 단체별 워크숍을 A~C 그룹으로 분리하여, 대면 또는 비대면으로 개설 운영하며, 각 워크숍 별로 참여인원을 제한하고 있으므로 사전접수 시 중복신청에 유의하여, 반드시 참여가능한 워크숍을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1.11(화)에는 청주교사교육포럼의 개회식이 진행되며, 수업혁신을 위하여 경주해온 자생적인 교사단체들과 현장교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경험과 전망, 교육이슈에 대한 토론을 이루는 수업전문성 나눔의 장 강연이 진행진행됩니다.
  • 1.12(수)에는“학습공동체와 교사 성장”을 주제로 국제부문에서는 미국, 핀란드, 호주, 한국의 수업에 대한 강연이 진행 되며, 오후의 국내부분에서는 한국의 수업연구자/교사들의 학술발표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청주교사교육포럼 참여안내

  • 접수처 : 홈페이지 주소(www.CITEF.net)에 안내되는 링크를 통하여 신청가능합니다.
  • 참가신청 및 사전접수기간 : 2021.12. 6.(월)부터 ~ 2022. 1. 3.(월)까지 선착순으로 접수 마감 예정
  • 문의처 : 043-299-0696, eri@cje.ac.kr
  • 코로나 방역 지침으로 인하여 사전에 확인되지 않은 참가자의 출입을 철저하게 통제합니다.
  • 주요행사는 유튜브 채널(청주교육대학교교육연구원)에서 생방송 송출이 이뤄지며, 줌으로 운영되거나 현장에서 진행되는 행사들은 사전접수자에게 안내사항이 모두 문자로 발송될 예정입니다

제2회 우수수업영상상영회

  • 일정 : 2022. 1. 10. (월) 09:30 ~ 12:30
  • YouTube : 청주교육대학교교육연구원 유튜브채널(youtube/online streaming)
제2회 우수수업영상상영회
시간 내용
09:30–12:00
수업영상 3편 릴레이상영
(각 40분 내외)
  • (CITEF2021) 우수수업영상상영회
    • 수업 A  민주시민으로 더불어 살아가기
    • 수업 B  친구와 함께 목소리 연극하기 〈별빛반연극제〉
    • 수업 C  3S 실시간 온라인 수업으로 사회 문제를 능동적으로 탐구하기

제7회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 비평 공모전 시상식 및 워크숍

  • 일정 : 2022. 1. 10. (월) 13:30 ~ 17:30
  • YouTube : 청주교육대학교교육연구원 유튜브채널(youtube/online streaming)
제7회 수업 성찰과 소통을 위한 수업 비평 공모전 시상식 및 워크숍
시간 행사내용 원격화상강의실
13:30 – 14:30
  • 등록 : 청주교육대학교 신도서관1층 원격화상강의실 (온라인 사접접수 필요)
14:30 – 15:00
  • 사회 : 윤옥경(교육연구원 교원전문성개발센터장)
  • 개회사 : 이선경(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장)
  • 환영사 및 시상 : 이혁규(청주교육대학교 총장)
15:00 – 15:30
  • 공모전 총평 및 시상식
    • 사회 : 김병수(청주교육대학교 학술연구교수)
    • 대상 : 진용성(평내초)
    • 최우수상 : 최민영(양지초), 정수녀(상장초), 염수경(광주광역시 부설초)
    • 우수상 : 윤병도(황지중앙초), 한학범(장도초), 박예록(이반성초), 최진성(도원초)
15:00 – 17:00
  • 수업교사와의 대화 및 토론 
    • 통합(대면) : 심진규(진천 상신초)
    • 국어(비대면) : 김지영(인천 구월서초)
    • 사회(비대면) : 윤서영(세종 으뜸초)
17:30 ~
  • 종합토론 및 폐회
  • 접수처 : 홈페이지 주소(www.CITEF.net)에 안내되는 링크를 통하여 신청가능합니다.
  • 참가신청 및 사전접수기간 : 2021.12. 6.(월)부터 ~ 제한인원 내 선착순으로 접수 마감 예정
  • 문의처 : 043-299-0698, suntak3@cje.ac.kr

청주교육대학교 80주년 기념 학술대회 및 CITEF2021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 및 나눔의 장

  • 일정 : 2022. 1. 11. (화) 13:30 ~ 18:00
  • YouTube : 청주교육대학교교육연구원 유튜브채널(youtube/online streaming)
청주교육대학교 80주년 기념 학술대회 및 CITEF2021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 및 나눔의 장
13:30 ~ 18:00
  • CITEF2021 청주교사교육포럼 개회식
    • 개회사 : 이선경(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장)
    • 환영사 : 이혁규(청주교육대학교 총장)
  • 청주교육대학교 온샘홀
    • 사회자 : 신은희(충청북도교육연구정보원 연구사)
  • 수업전문성 나눔의 장: 참여단체 활동소개와 나눔

나눔강연1

'예술성 기반 수업하기와 수업보기로 수업 패러다임 바꾸기'

신지승 대구진천초등학교 수석교사
참좋은연구회

“참좋은연구회는 수업 이야기를 하고 싶어 함께 모인 대구초등교사들의 학습공 동체입니다. 교육과정 문해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프로젝트 수업을 함께 계획 하여 실천하고, 수업 비평을 통해 실천한 수업을 함께 나누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재의 획일적인 과학적 수업 패러다임을 벗어나 다양한 수업 문화가 공존할 수 있는 예술적 수업 패러다임으로의 변화를 꿈꾸고 있습니다.”

나눔강연2

‘수업비평문으로 함께 하는 수업 나눔’

김은정 문시중학교 교사
경기도수업비평연구회

“경기도수업비평연구회는 지난 10여년 간 활동하면서 수업을 성찰하고 기록해 왔던 수업비평문을 바탕으로 다양한 수업의 모습을 나누고자 합니다. 또한 소속 연구위원의 수업 실천과 수업을 보는 안목의 변화 과정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나눔강연3

‘함께하면 가능합니다.’

김영학 운암고등학교 교사
재미있는 과학수업 만들기

“수업의 개선은‘개인 성취의 결과가 아니라, 협동적 성취의 결과’입니다. ‘재미있는 과학수업 만들기’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교사들이 함께 고민하고 실천 하여 공동성장을 이뤄낸 협력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나눔강연4

‘충북실천교육교사모임의 독서모임’

정혜영 개신초등학교 교사
충북실천교육교사모임

“충북실천교육교사모임은 회원인 선생님들과 달에 1번씩 독서모임을 하고 있습니다. 주제도서는 교육도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설, 동화 등도 허용하고 있어서 서로의 삶을 알아보고 이해할 수 있는 훌륭한 매개체입니다. 이런 활동을 경험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나눔강연5

‘새내기 교사의 학교생활 적응과 자존감 높이기’

이수용 경북 왜관초등학교 수석교사
한국유초등수석교사회

“새내기 교사(저경력 교사 포함)들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할 일, 관계 맺기 등의 학교 생활 적응 능력을 지원하고, 교육과정과 수업 설계 역량을 향상시켜 나만의 브랜드 있는 수업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나눔강연6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미래 교육 방향’

박소영 보담브레인연구소 연구원
브레인융합교육연구회

“인공지능 시대 교육학, 심리학, 뇌과학, 신경과학 등을 융합한‘교육신경과학’이 대두됨에 따라 진로, 인성, 학습 등 다양한 영역의 미래교육 패러다임 변화를 소개합니다.”

나눔강연7

‘두뇌가 행복한 학교 문화 만들기 방향’

박선이 천전초등학교 수석교사
해피브레인스쿨

“행복한 학교 문화를 만들기 위한 두뇌친화적인 환경 조성 방법, 정서 인식 및 조절 방법, 자신의 한계 극복 및 자신감 향상 방법, 크고 가치있는 비전과 꿈 설정 방법 등을 소개합니다.”

나눔강연8

‘행복한 교사의 자기관리 역량 향상을 위한 셀프코칭’

임운나 행복교사상담연구소 소장
행복교사상담연구소

"교사가 행복해야 학생이 행복하다’라는 슬로건 아래 행복한 교사의 몸, 마음, 두뇌의 자기관리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구체적인 셀프코칭 방법 소개합니다."

나눔강연9

‘좋은교사운동과 성장한 나’

홍인기 좋은교사운동 초등정책팀장
좋은교사

“1993년 발령 받은 이후로 교사로서 시대별로 주어진 과제가 있었습니다. 그 과제들을 제가 속한 교사공동체에서 함께 풀어올 수 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의 자연스러운 성장과정을 나누하고자 합니다. ”

나눔강연10

‘나눔으로 함께 성장하는 더불어숲’

정구철 수성초등학교 교사
수업친구 더불어숲

“수업친구 더불어숲은 수업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있는 29명의 충북교사가 함께 하는 수업 연구 모임입니다. 2020년부터 SNS를 활용한 카드뉴스 등을 통해 수업아이디어와 교육사례들을 공유하고 수업나눔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수업을 고민하고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숲 선생님들의 활동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0th ICST(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hool and Teaching)

  • 일정 : 2022. 1. 12. (수) 09:30 ~ 14:10

Dr. Jari Lavonen(Professor, University of Helsinki, Finland)

핀란드 헬싱키 대학교 교수로 전국교사교육포럼 이사, 핀란드 수학시험위원회 의장. 요하네스버그 대학교 초빙교수, 대만 국립청화대학교 명예교수를 맡고 있다. 지난 31년 동안 과학과기술과 교사 교육을 연구해 왔으며. 과학 교사 교육 및 과학 교육을 위해 총 160개의 참고된 과학 논문을 저널과 책에, 140개의 기사와 160권의 책을 출판 하였다.

Dr. Maria E. Hyler(Director, Learning Policy Institute, U.S.A)

LPI(Learning Policy Institute) 워싱턴 DC 사무국장으로 교육자 준비연구소(EDPrepLab)을 이끌며 연구, 실습, 정책 활동을 하고 있다.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의 교사 교육 및 전문성개발 조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캘리포니아주벨몬트 에서 10,11학년을 가르쳤고 2000년에 청소년 영어 예술에서 국가위원회 인증을 받았다. 하버드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을 거쳐, 스탠포드에서 교육과정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Dr. Anthony Mackay(Director, Centre for Strategic Education, Australia)

Anthony Mackay는 모든 대륙의 조직, 정부 및 학교 시스템에 자문을 제공했으며, 글로벌 교육 연구 및 개발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와 유네스코 국제교육국(IBE)의 전문 고문이자 아시아 소사이어티 글로벌 교육 센터의 위원이다 . 또한 호주 교육 연구 위원회 (ACER)의 의장 , 멜버른 스윈번 대학교 부총장 , 뉴질랜드 Aotearoa 교수위원회 부의장이기도 하다. 그는 호주 전략 교육 센터의 CEO 를 거쳐 , 현재는 미국 NCEE 의 CEO 로 기여하고 있다.

Dr. Hosun Kang(Associate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부교수로 교사의 전문성 신장, 특히 수업 전 문성 신장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더 나은 삶과 사회를 만드는 과학교육을 지 향하고 탐구하며, 과학 학습 및 수업, 교사의 학습 및 전문성 개발, 교사교육에 대한 20여편의 논문들을 해당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에 출판하였다. 2011년 미국 교욱협회 수업 및 교사교육 분과 올해의 박사학위 논문상 수상, 2017 미국과학교육 협회 선정 올해 과학교사들이 읽어야 할 논 문 선정, 2019 미국과학교육 협회 선정 촉망받는 젊은 연구자상 수상, 2019 미국 국립 과학연구재단 촉망받는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하였다. 서울대 생물 교육과를 졸업한 후 경기도 중, 고등학교에서 7년간 과학교사로 근무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 얼바인에서 교수로 2021년 6월까지 근무하였다.

Dr. Namgyun KimProfessor, of Mathematics Education, CNUE, Korea)

서울토성초등학교에서 약 10년 간 학생을 가르쳤다. 2004년 부터 현재까지 청주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로 재직중 이다. 초등수학교수법과 교사전문성 개발에 대하여 강의 및 연구하고 있다. 여러 해 동안 현장 교사와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였고 충북혁신학교 운영의 컨설팅과 평가 연구를 지속 하고 있다. 교사들의 자발적인 협력과 학교문화 개선, 교사학 습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과 수업 혁신에 관 심이 있다. 현재 초등수학 교과서를 집필하고 있으며, 수학교 육과정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10th ICST
Time CONTENT
09:30 - 09:50

Openning & welcome

Sun-Kyung, Lee (Director of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CNUE), Hyuk-Kyu, Lee (president of CNUE)
  • Chair : Yoon, Okkyong (CNUE)
  • Chair : Kwon, Hyuk-il (CNUE)
09:50 - 10:30 Keynote
Speech 1
(기조강연1)
Teachers in Research Universities for Finnish Decentralised Education Context
Educating Teachers in Research Universities for Finnish Decentralised Education Context
(핀란드의 분권화된 교육 맥락을 위한 연구 중심 대학에서 전문적 교사 교육하기)
Dr. Jari Lavonen (Professor, University of Helsinki, Finland)
10:30 - 11:10 Keynote
Speech 2
(기조강연2)
The Importance of Learning Communities i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Development
(예비교사 현직교사의 성장에 있어서 학습공동체의 중요성)
Dr. Maria E. Hyler (Director, Learning Policy Institute, U.S.A)
11:10 - 11:50 Keynote
Speech 3
(기조강연3)
What do the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do to improve their teaching?
(미국에서 교사들은 어떻게 교수 활동을 개선할까?)
Dr. Hosun Kang (Associate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1:50 - 12:30 Keynote
Speech 4
(기조강연4)
Leadership Development for High-Performing Education Systems
(최고의 성과를 내는 교육 시스템을 위한 교육적 리더십)
Dr. Anthony Mackay (Director, Centre for Strategic Education, Australia)
12:30 - 13:30 Lunch
13:30 - 14:10 Keynote
Speech 5
(기조강연5)
The Path of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to Become a Mecca for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교사 전문성 개발의 메카로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의 발자취)
Dr. Namgyun Kim (Professor,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청주교육대학교 개교 80주년 기념 학술대회 제31회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 일정 : 2022. 1. 12. (수) 15:00 ~ 18:00
  • YouTube : 청주교육대학교교육연구원 유튜브채널(youtube/online streaming)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국내부문)
시간 제31회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 학술세션 1 ]
Chair : 박윤경(Park YunKyoung / CNUE)
15:00 - 15:25
(발표1)
과학 교수학습 향상을 위해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교사학습공동체 탐구 이해
Five years of collaborative inquiry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improving science instruction
심수연(서울대학교) Shim Sooyean(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Professor)
15:25 - 15:50
(발표2)
충북 혁신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f Innovative Schools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이은주, 김남균(청주교육대학교), 곽지은(청풍초등학교) Lee Eunjoo, Kim Namgyun(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wak, Ji Eun(Chongpung Elementary School)
15:50 - 16:15
(발표3)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생태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 : 성화초 사례를 중심으로
Design and Operation of Ecological Curriculum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Focusing on the Case of Seonghwa Elementary School
김고은, 정재원, 조경화, 박종현, 박지혁, 이재욱, 조성우, 이유정, 엄선영, 김재성, 황정애(성화초등학교) Kim Koeun, Jeong Jaewon, Cho Gyeonghwa, Park Jonghyeon, Park Jihyuk, Lee Jaeuk, Cho Seongwoo, Lee Yujeong, Um Sunyoung, Kim Jaesung, Hwang JeongAe(Seonghwa Elementary School))
16:15 - 16:40
(발표4)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수업 혁신
Curriculum and classroom innovation through the teachers’learning community
염영하(삼정중학교) Yeom Yeongha (Samjung Middle School)
16:40 - 17:05
(발표5)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초등과학 수업 연구’에 관한 사례 연구 - 전문성, 학습, 공동체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school named‘Elementary Science Lesson Study’ - Focusing on professionalism, learning and community
김은서(사직초등학교), 이선경(청주교육대학교) Kim Eunseo(Sajig Elementary School), Lee Sunkyung(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7:05 - 17:30
(발표6)
강제된 블렌디드 수업 상황에 놓인 교사 교육자의 딜레마 탐색
Exploring the dilemmas of teacher educators in forced blended classroom situations
박윤경, 권혁순, 김미혜, 정현수(청주교육대학교) Park Yunkyoung, Kwon Hyeoksoon, Kim Mihye, Jung Hyunsoo(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7:30 - 18:00
(종합토론)
Discussion & Closing (Q&A)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국내부문)
시간 제31회 학교와 수업 연구 학술대회 [ 학술세션 2 ]
Chair : 이재용 (Lee Jaeyong/CNUE)
15:00-15:25
(발표1)
COVID-19로 인한 원격 교육 상황에서 드러난 과학교사의 행위주체성 발현과 교수 실행의 변화
The Emergence of Science Teacher Agency and Change of Teaching Practice in Distance Education due to COVID-19
이혜경, 김희백(서울대학교) Lee Hyekeoung, Kim heuibaik(Seoul National University)
15:25 - 15:50
(발표2)
충북 혁신학교 성과에 대한 질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Innovative Schools in Chungcheongbuk-do
염은열, 이은주, 김남균, 이선경(청주교육대학교) Yeum Eunyeul, Lee Eunjoo, Kim Namgyun, Lee Sunkyung(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5:50 - 16:15
(발표3)
충북 교사 전문성 지원 정책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of Chungcheongbuk-do Teacher’s Professionalism Supportive Policy
고명자, 전은숙(충청북도교육청) Ko Myeongja, Jeon Eunsook(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16:15 - 16:40
(발표4)
한국어 예비 교원의 교수 불안 연구 - 한국어 교육 실습에 참여한 한국인 예비교원과 외국인 예비 교원의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language Pre-service Teachers’teaching anxiety
박정아(경희대학교) Park Jeong ah(Kyunghee University Korean Language center)
16:40 - 17:05
(발표5)
교사공동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 신규교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eacher Community :Focusing on new teachers
진용성, 김상미, 김영식, 송칠섭, 이아름, 이찬경, 박선영(좋은교사운동) Jin Yongseong, Kim Sangmi, Kim Yeongsik, Song Chirsurp, Lee Areum, Lee Chankyung, Park Seonyoung(Goodteacher Movement)
17:05 - 17:30
(발표6)
두뇌친화적인 학교 환경 구축 및 정착을 통한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 방안 탐색
Exploring Measures to Create Learning Communities Through Organizing and Settling Brain-Friendly School Environment
신재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교수)/브레인융합교육연구회 Shin Jaehan(University of Brain-Educacion/professor)/Brain Convergence Education Research Society
17:30 - 18:00
(종합토론)
Discussion & Closing (Q&A)

CITEF2021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 group A)

  • 2022. 1. 11. (화) 09:30 ~ 12:30
    ※ 모든 워크숍은 CITEF.net에서 우선신청마감 합니다. (대면행사는 2차접종자 한하여 사전신청)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 group A
일시 운영단체 제목 운영형태 온라인 참석인원 장소
워크숍 A1
2022. 1. 11.(화)
09:30 - 12:30
(3시간)
역량교육디자인연구소

배움과 재미가 있는 스토리텔링 수업 [역량교육연구소]

  • 강연자 : 권순현 (역량교육연구소 소장)
“딱딱하고 재미없을 수 있는 학습 내용을 학생들 간단한 이미지(비주얼씽킹)로 표현하면 핵심 파악이 되고 기억이 보다 오래갑니다. 노래와 율동, 역할극으로 표현하면 더 재미있고 학습 효과는 몇 배로 향상이 됩니다. 교사와 학생들이 질문과 토론을 하면서 수업을 한다면 더 고차원적인 사고력과 창의력 향상이 됩니다. 역동적이며 재미있고 감동이 있는 스토리텔링 수업을 소개합니다.”
비대면 zoom 역량교육
연구소
워크숍 A2
2022. 1. 11.(화)
09:30-12:30
(3시간)
교컴

「교사의 시선」으로 나누는 교육 이야기 [교실밖교사커뮤니티:교컴]

  • 강연자 : 김태현 (백영고등학교 교사)
“불안하고 분주한 세상에서 차분히 오늘, 지금 경험하는 우리의 일상을 통해 다시 교육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그 속에 서 한 사람으로서의 교사, 사회인으로서의 교사, 교육자로서의 교사. 우리의 이야기는 결국 우리 스스로에게 위안이 되고, 다시 희망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비대면 zoom 40 교컴
워크숍 A3
2022. 1. 11.(화)
09:30-12:30
(3시간)
경기도 수업비평 교육연구회

역사과 수업영상으로 나누는 수업비평 [경기도수업비평교육연구회]

  • 강연자 : 이영선 (경기도 병점중학교 수석교사
“역사과 수업 영상을 바탕으로 수업 나눔을 하고자 합니다.”
비대면 zoom 경기도
수업비평
교육연구회
워크숍 A4
2022. 1. 11.(화)
09:30-12:30
(3시간)
브레인융합교육 연구회

미래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수업 방법 [브레인융합교육연구회]

  • 강연자 : 이은정 (문경서중학교 교사), 임운나 (대구교육대학교 외래교수), 신재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교수)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미래 사회의 변화로 인해 교육의 방향도 변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뇌과학, 인지과학, 신경과학 등이 발달함에 따라 교육학, 심리학, 뇌과학 등이 융합한 교육신경과학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역량, 인성 역량 등 핵심 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체험실습한다.”
비대면 zoom 브레인
융합교육
연구회
워크숍 A5
2022. 1. 11.(화)
09:30-12:30
(3시간)
교육공동체 벗

지역 사회에 교육의 길을 내다 - 학교와 아비투스 그리고 지역교육 [교육공동체 벗]

  • 강연자 : 이승아 (상주 내서중학교 교사), 오정오 (충북 영동중학교 교사), 김석규 (괴산 칠성중학교 교사)
“교육 자원 등 불평등 해소를 위한 학교와 지역 사회의 실천과 노력을 통해‘지역 교육 리터러시’를 고민해 본다.”
비대면 zoom 50 교육
공동체 벗
워크숍 A6
2022. 1. 11.(화)
09:30-12:30
(3시간)
한국유초등 수석교사회

미래교육과 교사 리더쉽 [한국유초등수석교사회]

  • 강연자 : 박순덕 (경기도 원종초등학교 수석교사), 조호제 (서울 잠실초등학교 수석교사)
“미래사회인재상과 이에 따라 요구되는 교사 리더쉽과 역량 강화 방안 등 ”
비대면 zoom 50 한국
유초등
수석교사회

CITEF2021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 group B)

  • 2022. 1. 13. (목) 09:30 ~ 12:30
    ※ 모든 워크숍은 CITEF.net에서 우선신청마감 합니다. (대면행사는 2차접종자 한하여 사전신청)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 group B
일시 운영단체 제목 운영형태 온라인 참석인원 장소
워크숍 B1
2022. 1. 13.(목)
09:30-12:30
(3시간)
충북초등수업연구모임

학: 학급회의로 교: 교실 꾸리기(학급회의로 교실 꾸리기) [수업친구 더불어숲]

  • 강연자 : 조미란 (충주 국원초등학교 교사), 양지은 (청주 내곡초등학교 교사)
“학급 회의 때 사용할 수 있는 여러 활동과 학급 회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대면 - 30 청주교대
원격화상
강의실
(도서관101)
워크숍 B2
2022. 1. 13.(목)
09:30-12:30
(3시간)
(사)함께교육

협동하는 배움에 물들이는 유형별 전략별 학습코칭 [함께교육]

  • 강연자 : 백선아 (함께교육 대표)
“코로나로 인해 학생 간 학력격차가 심해지고 혼자 공부를 해나가는 것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진짜 공부를 할 수 있는 힘’을 주는 교사 코칭이 시작됩니다. 동기부여, 기기억, 시간관리, 읽기, 기록 등 함께 하는 교실에서 선생 님과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전문적인 공부 멘토가 되어주세요. 한국협동학습연구회가 20년 넘게 연 구해 온 함께하는 마음과 공부 철학이 만나 대한민국 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불을 지피고 있습니다.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들을 모아 선생님들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
비대면 zoom 25 (사)함께교육
워크숍 B3
2022. 1. 13.(목)
09:30-12:30
(3시간)
참쌤스쿨

질문하는 교실 : 책과 그림책으로 던지는 질문과 대답 [참쌤스쿨]

  • 강연자 : 최유라 (청원초등학교 교사)
“정답 대신 질문을 던져 아이들의 세상을 쌓아가게 만드는 교실의 교육과정 나눔. 책과 그림책 속에 담긴 질문을 함께 체험 실습 하는 워크숍.”
비대면 zoom 참쌤스쿨
워크숍 B4
2022. 1. 13.(목)
09:30-12:30
(3시간)
해피브레인스쿨

두뇌가 행복한 학교 만들기 위한 방법 및 사례 [해피브레인스쿨]

  • 강연자 : 김선임 (월영초등학교 수석교사), 오진선 (가경중학교 교사), 이윤진 (한국주얼리고등학교 교사)
“인공지능 시대에 적합한 행복한 학교 문화는 무엇일까? 인지과학, 신경과학 등을 융합하여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미래 지향적인 학교 문화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미래 지향적인 학교 문화를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및 사례를 발표한다. ”
비대면 zoom 30 해피브레인
스쿨
워크숍 B5
2022. 1. 13.(목)
09:30-12:30
(3시간)
충북교사 공감교실

공감교실, 공감대화 원리·기법·체험 [충북교사공감교실]

  • 강연자 : 성영미 (충청 칠성중학교 교사), 조환문 (청주IT과학고등학교 교사), 김영숙 (충북여자고등학교 교사), 김유한 (충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 교사), 황주옥 (율량중학교 교사)
“따뜻하고 안전한 교실을 꿈꾸는 선생님, 공감교실은 공감대화를 통해 이해와 인정의 마음을 말에 담아냅니다. 공감대화 듣기와 말하기를 통해 선생님이 바라시는 아이들과의 따뜻한 만남을 이루어 가시길 바랍니다.”
비대면 zoom 25 충북교사
공감교실
워크숍 B6
2022. 1. 13.(목)
09:30-12:30
(3시간)
한국중등수석교사회

팀티칭 공동교육과정 [한국중등수석교사회]

  • 강연자 : 강지연 (전주여자고등학교 수석교사)
“공동교육과정은 학교 간 수업을 공유함으로써 최대한 다양한 과목을 개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은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수강할 수 있어 이롭지만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교사동아리에서 팀을 결성하여 교사의 부담을 줄이고, 수업의 질을 향상시킨 수업 사례와 함께 공동교육과정의 방향에 대한 고민을 나누고자 한다. ”
비대면 zoom 50 한국중등
수석교사회
워크숍 B7
2022. 1. 13.(목)
09:30-12:30
(3시간)
청주교육대학교 미래교육센터

미래교육센터의 활용과 성과 사례 [청주교육대학교 미래교육센터]

  • 강연자 : 권혁일 교수 (청주교육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장)
“미래교육센터 자원 및 시설을 기반으로 진행된 운영사례/ 활용방안을 소개합니다, 미래초등교육 혁신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대면 /
비대면
zoom 미래
교육센터

CITEF2021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 group C) 2022. 1. 13. (목) 14:00 ~ 17:00 ※ 모든 워크숍은 CITEF.net에서 우선신청마감 합니다. (대면행사는 2차접종자 한하여 사전신청)

교사전문성신장워크숍 - group C
일시 운영단체 제목 운영형태 온라인 참석인원 장소
워크숍 C1
2021. 1. 13.(목)
14:00-17:00
(3시간)
좋은교사

“나”를 이해하고“우리”를 세우는 온라인 수업나눔 [좋은교사 수업코칭연구소]

  • 강연자 : 이세희 (광주송우초등학교 교사), 박지연 (광주하남초등학교 교사), 진용성 (경기평내초등학교 교사), 박선영 (광주태봉초등학교 교사)
“치열한 교육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선생님들을 고립을 넘어 공동체로, 좌절을 넘어 성장으로, 포기를 넘어 희망으로 나아가는 ‘너와 나의 만남, 온라인 수업나눔’으로 초대합니다. 워크북『수업나눔, 교사의 성장을 꽃피우다』에 수록된‘교실 속 습관과 가치, 일상수업의 의미 등’의 중요한 테마들을 동료선생님들과 이야기합니다. 학교의 전학공 모임이나 동학년 동교과 수업나눔 모임을 진행하실 힘과 아이디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비대면 zoom 48 좋은교사
워크숍 C2
2021. 1. 13.(목)
14:00-17:00
(3시간)
재미있는 과학수업만들기

‘교사들, 함께 배우고 성장하기’[재미있는 과학수업 만들기]

  • 강연자 : 김정식 (경기 광주고등학교 수석교사), 정현주 (경기 김포한가람중학교 교사), 김요섭 (경기 광수중학교 교사)
‘재미있는 과학수업 만들기’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교사들의 협업, 공동 성장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비대면 zoom 재미있는
과학수업
만들기
워크숍 C3
2021. 1. 13.(목)
14:00-17:00
(3시간)
행복교사상담연구소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상담 방법 및 사례’ [행복교사상담연구소]

  • 강연자 : 임운나 (대구교육대학교 외래교수), 이옥영 (전국교사힐링상담센터 센터장), 신재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교수)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미래 사회의 변화로 인해 상담의 방향도 변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뇌과학, 인지과학, 신경과학 등이 발달함에 따라 교육신경과학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미래지향적인 상담 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체험실습한다.’
대면 - 30 청주교대
원격화상
강의실
(도서관101)
워크숍 C4
2021. 1. 13.(목)
14:00-17:00
(3시간)
충북실천교육교사모임

아동을 즐거움의 주인으로: 노작, 놀이, 회의를 중심으로 [충북실천교육교사모임]

  • 강연자 : 강환욱 (충청북도 판동초등학교 교사)
“온학생들이 직접 만들고, 놀고, 회의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즐거움을 얻었던 실제 사례를 함께 나누고자 함”
대면 - 20 청주교대
교사교육센터
수업비평
워크숍실
(도서관208호)
워크숍 C5
2021. 1. 13.(목) 14:00-17:00
(3시간)
배움의공동체 충북연구회

배움의공동체 수업 사례 및 수업 협의회 [배움의공동체 충북연구회]

  • 강연자 : 정소영 (충북 소이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 김혜란 (충북 성화초 교사), 안다겸 (충북 옥천여자중학교 교사), 김현중 (충북 수곡중학교 수석교사), 김혜정 (충북 괴산고등학교 교사), 이진 (충북 서전고등학교 수석교사)
“배움의공동체’는 한 명의 아이도 소외 되지 않는 질 높고 평등한 수업을 실현하기 위해 연구하고 실천하는 교사들의 수업 연구회입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유/초/중/고 다양한 학교급에서, 다양한 수업 형태(교사-학생 1:1 기초문해력 수업, 스 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 선택교과 수업) 속에서 배움의공동체 수업을 고민하고 실천했던 구체적인 사례들을 나누고자 합 니다.‘수업’에서 우리가 놓쳐서는 안 되는 것, 수업의 구심점은 무엇인지 함께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비대면 zoom 30 배움의
공동체
충북연구회
워크숍 C6
2021. 1. 13.(목)
14:00-17:00
(3시간)
한국중등수석교사회

미래사회의 교사의 역할과 역량 [한국중등수석교사회]

  • 강연자 : 박정숙 (양재고등학교 수석교사)
“제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및 지식 정보화시대, 위드 코로나 등 급변하는 사회를 살아가고 앞으로 살아나가야 하는 학생들을 위해 교사는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이를 위해 필요한 교사의 역량과 역할은 무엇인가? 학교급 또는 과목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나올 수 있겠지만 그 안에서 공통된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의견을 교환하는 과정 중 미래사회를 위해 수업과 평가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고민해볼 수 있다.”
비대면 zoom 한국중등
수석교사회
워크숍 C7
2021. 1. 13.(목)
14:00-17:00
(3시간)
한국중등수석교사회

수석교사, 수업운영사례 워크숍 [한국중등수석교사회]

  • 강연자 : 권주영 (서울 노일중학교 수석교사), 조은경 (전주근영중학교 수석교사), 권혁선 (전주고등학교 수석교사)
“1. 위드코로나 시대, 삶을 위한 국어 수업을 고민하다.
2. 전주근영중학교의 제21차 한일 공동수업사례(할머니, 우리들의 할머니),
3. 블랜디드 수업 운영 사례 등 한국중등수석교사회에서 진행한 수업운영사례들을 소개한다.”
비대면 zoom 50 한국중등
수석교사회